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동성광산 / 東星鑛山 [경제·산업/산업]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심리에 있었던 구리광산. 일제강점기 때 개발되었으나 1952년부터 본격적인 개발을 시작하였다. 우리나라 귀금속 광산이 대략 금·은·동이 함께 산출되는 것처럼 이 광산에서도 함께 산출되었다. 품위는 금은 미미하나 은 53.24g·t, 구

  • 동성교여집 / 東省校餘集 [문학/한문학]

    조선 정조의 문집인 『홍재전서(弘齋全書)』 교인(校印)의 일에 종사한 규장각 각신 15인의 시를 모은 책. 2권 1책. 활자본. 권두에 김조순(金祖淳)·남공철(南公轍)·김이교(金履喬) 등의 서문이 있다. 이 책에 수록된 시는 고율(古律)·장단가(長短歌) 등 각체인데,

  • 동성동본불혼 / 同姓同本不婚 [사회/가족]

    성(姓)과 본(本)이 같은 남녀 사이, 즉 동일한 남계시조(男系始祖)의 후손 사이에는 촌수에 관계없이 혼인을 하지 않는 제도. 인간이 다른 동물과 구별되는 특징 중의 하나가 근친금혼(近親禁婚, incest taboo)이다. 이는 원시사회부터 족내혼(族內婚)과 족외혼(族

  • 동성촌락 / 同姓村落 [사회/촌락]

    동성동본의 씨족성원들이 한 마을에 집단거주하여, 그 동성집단의 조직과 기능이 촌락 전체에 지배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촌락. 동성촌락의 기본구조를 특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혈연관계이다. 우리 나라의 가족이나 씨족에서는 부계혈연을 통한 남자 개인의 자격이 여타의 어떤 조

  • 동소유고 / 桐巢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남하정의 시문집. 7권 4책. 석인본. 1775년(영조 51) 아들 규가 편집, 1927년 방손 상순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경종의 서문과 권말에 상순의 발문이 있다. 권1∼3은 시, 권4는 서(書)·서(序)·기·발·명·상량문, 권5는 묘지·묘표·행

  • 동수국사 / 同修國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사관의 관직. 사관의 재상직은 한림원의 3품 이하 관직이 겸하는 수찬관들이 사관으로서 시정을 기록하고 실록을 편찬하는 일을 지휘·감독하였을 것이다. 1308년(충선왕 복위) 사관이 예문춘추관으로 되었다가 1325년(충숙왕 12) 예문관과 춘추관으로 분리, 동

  • 동시총화 / 東詩叢話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엮어진 찬자 미상의 시집. 뒤에 간단한 발문이 붙어 있다. 그러나 찬자를 확인할 수는 없다. 권두에 ‘趙恒鎭印(조항진인)’이라는 도장이 찍혀 있고, 권말에 ‘貳聲章藏書(이성장장서)’라는 도장이 찍혀 있다. 고려 공민왕 때의 왕방(王昉)·조반(趙胖)의 일에서

  • 동시화 / 東詩話 [문학/한문학]

    유학자 하겸진(河謙鎭)이 편집한 시화집. 2권 1책. 필사본. 활자본에는 성환혁의 발문이 추가되어 있다. 본문은 수록(隨錄) 형식으로 권1에 시화 143칙(則), 권2에 105칙이 실려 있다. 「후지」에서 밝혔듯이, 저자는 시의 공졸(工拙)과 고사(故事)의 역사적인

  • 동아마라톤대회 / 東亞─大會 [예술·체육/체육]

    동아일보사에서 주최하여 매년 개최하는 마라톤 경기대회. 1931년 서울에서 열린 제1회 경성∼영등포 마라톤대회(京永대회)를 모태로 한 동아마라톤은 2000년 현재 제71회의 역사와 전통을 간직한 대회이다.일제강점기에 마라톤으로 일본인의 기를 꺾고 민족혼을 일깨우고자 창

  • 동아무용콩쿠르 / 東亞舞踊콩쿠르 [예술·체육/무용]

    동아일보사에서 매년 5월 신인무용수 발굴을 위해 전국대회 규모로 개최하는 경연대회.전국무용경연대회. 1959년~1961년 3차례 개최된 신인무용발표회를 모태로 1964년 제1회 전국무용경연대회가 시작되었고, 1967년 제4회부터 동아무용콩쿠르로 개칭되었다. 1970년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