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 운달산 / 雲疸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읍과 산북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097m.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소백산맥 중의 한 산으로, 남동쪽으로 단산(檀山, 956m)·오정산(烏井山, 811m)·어룡산(魚龍山, 620m)·작약산(芍藥山, 763m) 등이 하나의 맥을 이루고 있다. 지질은

  • 운문산 / 雲門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과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195.1m. 태백산맥의 고헌산(高獻山, 1,033m)에서 갈라져 경상남도와 경상북도의 경계를 이루는 성현산맥(省峴山脈) 중의 한 산으로, 동쪽으로는 가지산(加智山, 1,240m)·고헌산, 서쪽

  • 운봉고원 / 雲峰高原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에 해당하는 분지 형태의 고원. 운봉 고원은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의 행정 구역과 거의 일치된다. 운봉읍은 1995년 읍으로 승격되었으며, 읍 소재지는 서천리이다. 운봉 고원은 지형적인 이점 때문에, 배추, 고추, 마늘 등의 고랭지 채소와 화훼 재

  • 운봉분지 / 雲峰盆地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 지역에 있는 분지. 이 분지는 지리산국립공원의 서북쪽에 접해 있는 고원성 분지로 분지면의 고도가 450∼480m이다. 이 지역의 농업은 고랭지의 특색을 살려 호프(HOP) 재배, 고랭지채소를 특화하고 있다. 그리고 산록부에 초지를 조성하여 축산이

  • 운봉호 / 雲峰湖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자성군(지금의 자강도 자성군과 중강군)의 북부 압록강의 중류에 있는 호수. 넓이 104.88㎢, 둘레 359㎞, 길이 77.5㎞, 너비 1.2㎞. 1966년에 완공되었으며, 자성강(慈城江)·중강천(中江川) 등을 비롯하여 여러 하천이 흘러 든다. 호수에는 화물선

  • 운악산 / 雲岳山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포천시 화현면과 가평군 조종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934.7m. 광주산맥의 여맥 중의 한 산으로 북쪽으로 청계산(淸溪山, 849m)·강씨봉(姜氏峯, 830m)·국망봉(國望峯, 1,168m) 등으로 이어져 포천시와 가평군의 경계를 이룬다. 산의 동북쪽에는 화악

  • 운장산 / 雲長山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진안군 주천면·정천면·부귀면과 완주군 동상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125.8m.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노령산맥 중의 한 산으로, 정상 부분은 세 봉우리로 이루어진다. 동봉(東峰, 1,120m)은 주천면과 정천면의 경계가, 서봉(西峰, 1,110m)은 동상면

  • 운전평야 / 雲田坪野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정주군의 동부와 박천군의 서부(지금의 운전군) 지역에 걸쳐 있는 평야. 이 지역은 한강하구처럼 내륙 깊숙이 조수의 영향을 받는 곳으로 후빙기 해수면 상승이 마지막에 이르렀을 때 지형의 윤곽이 들어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범람원 지역은 빙하기에 깊이 파였

  • 운총강 / 雲寵江 [지리/자연지리]

    북한의 행정구역상 양강도 운흥군에서 발원하여 허천강으로 흘러드는 강. 양강도 운흥군(옛 함경남도 혜산군)의 대각산(大角山, 2,121m) 서북쪽의 기슭에서 발원하여 영하노동자구, 남중노동자구, 생장노동자구, 운흡읍, 심포리, 일건노동자구를 거쳐 혜산시 신장리에서 허천강

  • 운포동굴 / 雲浦洞窟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홍원군 용원면 동호리(지금의 운포노동자구)에 있는 석회동굴. 길이 400m. 1967년에 발견되었으며, 온 산이 석회암으로 된 황개산(黃蓋産) 중턱에 있다. 생성시기는 하부고생대의 석회암층에 생긴 석회동굴로서 동굴 안에는 호수가 많이 있으며, 깊이가 2m나 되

페이지 / 9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