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동백목 / 冬柏木 [문학/고전시가]
고려 충숙왕 때 채홍철(蔡洪哲)이 지은 가사. 작품은 전하지 않으며, 노래의 내력만이 『고려사』 권71 악지(樂志) 속악조(俗樂條)에 전하며, 그 일부가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고(樂考) 17에 옮겨져 있다.
동백산 / 東白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장진군 장진면과 평안남도 영원군 소백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2,096m. 장진읍에서 남서쪽으로 20㎞ 떨어져 있으며 낭림산맥에 속한다. 서북쪽의 소백산(小白山, 2,184m), 남쪽의 마대산(馬垈山, 1,745m)·황봉(黃峯, 1,736m)·차일봉(遮日峯,
동번집 / 東樊集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의 시인 이만용(李晩用)의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권말에 원승의 지(識)가 있다. 권1∼3에 시 530수, 권4에 문(文) 10편이 실려 있다. 권말에 부록으로 실려 있는 「계당집초 溪堂集抄」는 저자의 아들인 지형(之衡)의 작품으로 부(賦) 1편과
동변군사 / 童便軍士 [사회/사회구조]
조선시대 내의원에 속하였던 노비. ≪육전조례≫에 그 정수는 3인으로 되어 있다. 의약서에 따르면 동변은 12세 미만의 아이들 오줌으로, 허로·빈뇨·유정·장양·보음, 인후구설의 창종에 효과가 있다고 하는데 이것을 조달하기 위하여 소속시켰다고 생각된다.
동별영 / 東別營 [정치·법제/국방]
조선 말기 훈련도감의 본영. 현재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의동에 있었다. 훈련도감의 본영은 1594년(선조 27) 서부 여경방(餘慶坊)에 세워져 300여년간 사용하였으나, 고종 초에 동별영으로 옮겼다가 1882년(고종 19) 훈련도감이 혁파되면서 폐지되었다.
동복 / 同福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화순 지역의 옛 지명. 백제 때 지명은 두부지(豆夫只)이었고, 757년(경덕왕 16) 동복으로 개칭되어 무주도독부 관내 곡성군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 초에는 보성군의 임내였다가 뒤에 승려 조염(祖琰)의 고향이라 하여 감무관(監務官)을 두었다. 1394년(태조
동복지 / 同福誌 [지리/인문지리]
1855년 송긍면 등이 전라도 동복(현 화순군 동복면)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편찬한 지방지. 1권 1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이밖에도 1899년에 편찬된 필사본 『동복군읍지』 1책과 편찬연대 미상의 『동복현지』 1책 등이 규장각 도서에
동복천 / 同福川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화순군 북면의 백아산(白鵝山)에서 발원하여 보성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길이 55.4㎞. 내북천(內北川)·외애천(外艾川)·외동천(外東川)·운산천(雲山川)·고성천(古星川)·용대천(龍坮川) 등 많은 지류를 합치면서, 남류하여 보성강에 합류한다. 수원이 풍부하여 유량
동복호 / 同福湖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ㆍ이서면ㆍ북면에 둘러싸여 있는 용수전용의 호수. 광주광역시의 상수도 수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1971년 높이 19.3m, 길이 133.8m의 댐을 동복면 고소치에 건설함으로써 등장된 인공호이나 상수도 용수 수요의 증가에 대처하기 위하여 1985년 7
동부 / 銅斧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 나무를 가공하는데 사용한 청동제 도끼. 한반도 출토품은 모두 주조품으로, 형태로 보아 2종류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나무자루를 끼우는 투겁이 장방형이고 허리가 가늘며 날부분이 부채꼴처럼 크게 확장된 부채도끼〔扇形銅斧〕로 크기는 10㎝ 내외이다. 장식무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