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동물유래담 [문학/구비문학]
동물들에 관한 여러 가지 기원(起源)을 설명하는 설화. 전국 여러 지역에서 구전되고 있다. 기원의 종류에 따라 발생·명칭·생김새·특성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그런데 특정 동물의 명칭유래담이 곧 그 동물의 발생유래를 설명하는 경우도 흔하나, 모든 발생유래담이 명칭유래담
동물학 / 動物學 [과학/동물]
생물의 일부인 동물에 관한 사실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여 개괄적인 법칙을 귀납하려는 학문. 동물은 여러 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고 크고 작은 여러 가지 분류군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동물학은 대상으로 하는 속성이나 분류군에 따라 여러 가지 분과로
동물형토기 / 動物形土器 [역사/선사시대사]
원삼국시대 후기에서 삼국시대에 걸쳐 제작된 동물형상의 토기. 동물형토기의 특징은 속이 비어 있고 꼬리부분이 둥글게 트였거나 등에 토기 아가리 같은 원통형 입이 달려 있는 점이다. 그러나 구멍이 없는 것도 있고 또 굽접시의 몸체를 양쪽에서 오므려 배〔舟〕모양 또는 귀잔
동반자작가 / 同伴者作家 [문학/현대문학]
1930년대 전후에 프롤레타리아문학에 동조한 작가들의 총칭. 한국 문학사에서는 연구자들은 동반자작가의 개념을 ‘비가맹원(非加盟員)이면서 카프의 정책에 동조하는 작가’라고 정의하기도 하였고, 카프에 가맹은 아니하였어도 그 방향만은 같이하며, 또 자연생성적인 작품을 써서
동방교 / 東方敎 [종교·철학/신종교]
1956년 노광공(虜光公)이 창립한 신종교. 대한예수교가정예배소, 밀알복음전도회, 이래교, 이래할아버지교 등으로도 불린다. 노광공은 일제하에서 순사부장을 지냈다. 1953년 한국복음동지회라는 부흥단체를 조직하고 1956년 동방교를 창립하였다. 1967년 노광공이 죽자
동방삭 설화 [문학/구비문학]
삼천갑자(三千甲子)를 살았다는 동방삭에 관한 설화. 구전설화로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며 널리 전승된다. 중국에서의 동방삭 설화는 보통 「동방삭작육(東方朔斫肉)」과 「동방삭투도(東方朔偸桃)」 두 가지가 전한다. 우리나라의 「동방삭 설화」는 크게 연명설화 형태와 저승 차사에
동방일사전 / 東方一士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익(李瀷)이 지은 전(傳). 동방일사는 5세기초 사람으로서 동방에 은거하여 살던 사람이었는데, 팽택령(彭澤令)으로 있던 도연명이 벼슬을 버리고 돌아와서 그를 찾았다. 그가 살고 있는 곳은 속세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푸른 솔과 흰 구름이 있는 한적한 산림이
동백나무 / 冬柏─ [과학/식물]
차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 잎은 어긋나게 달리고 두꺼우며 윤채가 난다. 타원형 또는 긴타원형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털이 없다. 꽃은 이른 봄철 잎겨드랑이와 가지 끝에 1개씩 달리는데 적색이며 반쯤 벌어진다. 꽃받침잎은 5개가 떨어져서 달리고 꽃잎은 5∼7개로
동백나무군락 / 冬柏─群落 [과학/식물]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에 있는 동백나무 군락.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27호. 동백나무는 우리나라 난온대림 즉 상록활엽수림대의 숲을 구성하는 표징종(標徵種)으로 인식되고 있는데 주로 연평균기온이 14℃ 이상인 남해안 일대와 남쪽 도서지방에서 자라고 있다. 이곳
동백년산 / 東百年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문천군 풍하면과 황해도 곡산군 동촌면·이령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246m. 마식령산맥에서 언진산맥이 분기하는 곳에 위치한다. 산의 동쪽 계곡으로 문천군 풍상면에서 발원하는 임진강이 남쪽으로 흐른다. 산은 전체적으로 험악하고 가파른데, 특히 북동사면은 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