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동몽수지 / 童蒙須知 [종교·철학/유학]

    중국 송나라 때 주자가 지은 아동교육 교재. 1책. 어린이가 지켜야 할 기본적인 도리와 예절을 적은 수신서이다. 고려 말에 들어와서 조선시대에는 아동교육용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내용은 의복·갓·신을 갖추는 일, 올바른 언어와 걸음걸이를 익히는 일, 주변을 정리하고 청소

  • 동문사 / 同文司 [역사/근대사]

    1881년 11월에 이전의 사대사와 교린사에서 담당하던 업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던 관서. 사대사는 사대문서의 관장과 중국사신의 접대, 군무, 변정사신의 차송, 교린사는 교린문서 관장, 사신접대 등을 맡았다. 1881년 11월 통리기무아문의 기구가 12사에서 7사

  • 동문선 / 東文選 [종교·철학/유학]

    1478년(성종 9) 성종의 명으로 서거정 등이 중심이 되어 편찬한 우리 나라 역대 시문선집. 본문 130권, 목록 3권, 합 133권 45책. 활자본·목판본. 당시 대제학이던 서거정이 중심이 되어 노사신·강희맹·양성지 등을 포함한 찬집관 23인이 작업에 참여하였다.

  • 동문수 / 東文粹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김종직(金宗直)이 편찬한 문장선집. 10권 3책. 목판본. 『동문수』는 성삼문(成三問) 등 집현전 학자들이 우리 나라 역대의 문장을 뽑아서 편집하여 『동인문보(東人文寶)』라는 책자를 편찬하다가 완성하지 못하였다. 오랫동안 구(舊) 규장각에 비장되었던 것을

  • 동문원 / 同文院 [언론·출판/출판]

    고려시대 중국계통의 문헌을 보관하던 것으로 보이는 관서. 문종 때 병과 권무관으로 사(3품겸대직) 1인, 부사(5품겸대직) 1인, 녹사 4인(2인은 겸관)을 두었다. 1298년(충렬왕 24) 충선왕이 보문서를 합병시켜 확장되었으나 1314년(충숙왕 1) 다시 보문각으

  • 동문유해 / 同文類解 [언론·출판/출판]

    1748년(영조 24) 현문항(玄文恒)이 편찬한 만주어 어휘집. 청어역관들의 학습용으로 사역원에서 간행되었다. 사역원 훈장인 현문항이 당시 중국에서 간행된 만주어 사전과 어휘집 『청문감』·『대청전서』·『동문광휘』 등을 참고하여 6년여에 걸쳐 수정, 편찬하였다고 한다.

  • 동문자모분해 / 東文字母分解 [언어/언어/문자]

    1860년대에 강위(姜瑋)가 지은 정음(正音) 연구서. 널리 알려진 것은 김윤경(金允經)의 ≪조선문자급어학사 朝鮮文字及語學史≫(1938)에 수록된 ≪동문자모분해≫(1869)이며, 근래에 알려진 것은 이능화(李能和)의 ≪국문연구안 國文硏究案≫(1907)에 등사된 ≪의정국

  • 동문지보 / 同文之寶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서적을 배포할 때 사용하던 어보(御寶). 『대전통편(大典通編)』과 『대전회통(大典會通)』의 예전(禮典) 새보조(璽寶條)에 보면, “동문지보는 서적을 반사(頒賜)할 때 쓴다.”고 하였다. 영조 때부터 쓰였다고 하나, 실제로 쓴 예는 1781년(정조 5)에 간행된

  • 동문집성 / 東文集成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송백옥(宋伯玉, 생몰년 미상)이 엮은 고문(古文) 선집. 36권 18책(본집 24권 12책, 속집 12권 6책). 필사본. 『동문집성』의 편집체재는 각 작가에 대하여 상·하 2권 1책으로 하여, 권두에는 서문에 해당하는 인(引)을 붙였다. 이어서 수록작품

  • 동물담 [문학/구비문학]

    의인화된 동물들에 관한 설화.동물담 속에 등장하는 동물들은 인간화되어 인간처럼 사고하고 행동하고 대화하며, 선과 악, 현(賢)과 우(愚)의 갈등을 일으킨다. 현전하는 동물유래담 중에는, 당초에는 유래담이 아니었던 것이 전승 과정에서 흥미의 제고(提高)를 위하여 유래담적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