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동룡굴 / 蝀龍窟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영변군 용산면 용등동에 있는 석회동굴. 길이 4∼5㎞. 주동(主洞)의 길이는 1,463m, 평균 너비 40m, 평균 높이는 20m로, 대부분의 동굴 속에 종유석과 석순, 그리고 석주와 유석(流石)으로 불리는 종유폭포경관, 계단논 모양의 용식지형, 동굴호수가 있

  • 동리매 / 洞里─ [사회/촌락]

    촌락의 규범을 위배한 사람에게 공개된 장소에서 태형을 가하던 마을의 자치적 사회 통제방식. 전통적인 촌락사회에서는 사회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자치적인 사회 통제의 방안으로 돌림·출향(黜鄕)·조리돌리기·화지개 등의 벌칙이 있어 왔는데, 동리매는 죄지은 사람의 신체에 직접적

  • 동리산 / 洞里山 [사회/촌락]

    마을 또는 동리가 공유하고 있는 산. 동리산만을 관리하기 위한 조직이 없을 경우는 대동회 때 정해진 절차를 밟으면 동리산을 비롯한 기타 공유재산을 이용할 권리를 얻게 된다. 이사갈 경우는 동리산의 이용권이 자동적으로 소멸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촌락사회가 공유하는 동리산

  • 동림들메나무 / 東林─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안북도 동림군 신곡노동자구에 있는 들메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70호. 우리나라에서 크고 오래 자란(500년) 들메나무의 하나이다. 나무의 높이 25m, 뿌리목둘레 7.7m, 가슴높이둘레 4.5m, 가슴높이직경 1.4m, 수관지름 15m이고, 나무줄

  • 동림산 / 東林山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후창군 동흥면과 동신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523m. 낭림산맥과 적유령산맥의 머리부분을 이룬다. 이 산의 남쪽에서 압록강으로 흘러드는 하천이 발원한다. 전나무·가문비나무·참나무 등 임상(林相)이 좋은 삼림이 많으며, 동쪽 사면의 남두수(南杜水)유역은 잣

  • 동림서원 / 東林書院 [교육/교육]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가오리 동림마을에 있었던 서원. 1694년(숙종 20)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유형원(柳馨遠)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12년(숙종 38) 김서경(金瑞慶)과 유문원(柳文遠)을 모셨으며, 그 뒤 김회신(金懷愼)을 추가

  • 동림인두리당모루유적 / 東林仁豆里─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평안북도 선천군 심천면 인두동(현재 북한의 평안북도 동림군 인두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유물산포지 유적. 1959년 4월 27일 북한의 신의주역사박물관에서 발굴 조사하였다. 당모루산 동쪽, 청강(淸江)이 북에서 남으로 흐르는 남쪽면에서 관개공사용 석재를 채취하는 곳의 남

  • 동림폭포 / 東林瀑布 [지리/자연지리]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안북도 동림군(옛 선천군 심천면) 고군영리 태봉 남쪽에 있는 폭포. 폭포 위에는 용바위, 병풍바위가 있고 아래에는 말안장처럼 생긴 바위가 있다. 폭포 주변에는 소나무, 떡갈나무, 단풍나무들이 어우러져 더욱 빼어난 자연경관을 자랑하며, 폭포 밑에는 용

  • 동맹 / 東盟 [종교·철학]

    고구려에서 10월에 행하던 제천의식. 동맹에 관한 기록은 ≪삼국지≫·≪후한서≫ 등에 처음 나타난다. ≪후한서≫에서는 “10월로써 하늘에 제사하고 대회하니 이름하여 동맹이라 한다. 그 나라 동쪽에 대혈이 있는데 수신이라 부르고, 역시 10월로써 맞아서 제사한다”고 기록하

  • 동맹휴학 / 同盟休學 [사회/사회구조]

    학생들의 집단적인 등교·수업 거부 운동. 일제강점기의 동맹휴학은 본질적인 면에서 항일적 성격을 내포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식민지 상황을 누구보다도 철저하게 인식하여 그에 대한 민족적 대항 자세를 확립하고, 또한 그것을 행동으로 해결하려는 실천력을 왕성하게 개발해 나가는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