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동래두구동임석유적 / 東萊杜邱洞林石遺蹟 [역사/선사시대사]
부산광역시 동래구 두구동 임석에 있는 분묘 및 요지 유적. 1987년 9∼11월 부산직할시립박물관이 발굴 조사하였다. 조사된 유구(遺構)는 민무늬토기시대의 석곽(石槨) 1기, 삼국시대의 석곽묘 16기, 통일신라시대의 토기요(土器窯) 1기, 조선 전기의 와요(瓦窯) 2기
동래부읍지 / 東來府邑誌 [지리/인문지리]
경상남도 동래부(현 부산광역시 동래구)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지도가 첨부된 사본. 표지에는 ‘慶尙南道東萊府邑誌(경상남도동래부읍지)’로 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외에 영조 때 편찬된 『동래부지』와 『경상도읍
동래선생좌씨박의 / 東萊先生左氏博議 [종교·철학/유학]
춘추류(春秋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23.3×14.8cm, 반곽은 15.7×11.9cm이다. 표제는 동래박의(東萊博議), 판심제는 동래좌씨박의(東萊左氏博議)이다. 권수는 6권 1책이다. 남송(南宋)의 여조겸(呂祖謙
동래온천 / 東萊溫泉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있는 온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온정(溫井)은 현(縣)의 북쪽으로 5리 떨어진 곳에 있다. 그 온도는 닭도 익힐 수 있을 정도이며, 병을 지닌 사람이 목욕만 하면 곧 낫는다. 신라 때에 왕이 여러 번 여기에 오고는 하여 돌을 쌓고 네 모
동래지신밟기 / 東萊地神─ [생활/민속]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에 전승되는 민속놀이. 부산광역시 무형문화재 제4호. 지신밟기는 옛날부터 전국 각지에서 주로 정초에 행하던 것으로서 그 규모와 내용에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우리 나라의 민간 신앙적 마을굿이다. 동래지역에서는 ‘걸립’ 또는 ‘지신밟기한다’, ‘덕
동래학춤 / 東萊鶴춤 [예술·체육/무용]
부산 동래지방에서 추어지는 학의 동작을 표현한 춤. 동래학춤에 관한 문헌은 전혀 찾을 수 없으나, 구전에 의하면 동래의 서남편(연산리)에는 광대한 무딩기땅과 그 안에 큰 대조석(大鳥石)이 있어 많은 황새가 떼를 지어 서식하였다. 따라서, 주민들은 황새의 관찰을 통하여
동래향교 / 東萊鄕校 [교육/교육]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에 있는 향교. 1392년(태조 1) 지방에 향교를 지어 유생의 교육에 힘쓰라는 태조의 교서를 받들어 태조 때 와성(臥城, 지금의 동래고등학교 자리)에 설립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 1605년(선조 38)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
동려집 / 東旅集 [종교·철학/유학]
동려 안창렬의 문집. 목판본, 서: 이명상(1931), 발: 이중균(1927), 6권 3책. 권두에 이명상의 서문과 목차가 나온다. 권1에 사 1수, 부 1수, 시 166수, 권2에 시 191수, 권3에 소 2편, 서 74편, 권4에 서 3편, 기 8편, 발 5편, 잡
동뢰연 / 同牢宴 [정치·법제]
조선의 왕실 혼례인 가례의 여섯 절차 중 마지막 의식. 신랑과 신부가 절을 주고받은 뒤 술잔을 서로 나누는 잔치이다. 동뢰연의 뇌(牢)는 짐승 뇌를 가리키는 것으로, 동뢰연이란 돼지의 오른쪽 반을 신랑에게, 왼쪽 반은 신부에게 차려 줘 나눠 먹게 함으로써 서로 다른
동뢰홀기 / 同牢笏記 [정치·법제]
혼인의 여섯 가지 예법 중의 하나인 동뢰(同牢)의 의식 절차를 기록한 홀기. 동뢰는 국왕이 왕비를 대궐로 맞이해 와서 함께 절하고 술을 주고받는 의식이다. 이 문서에서는 '왕자(王子)'와 '부인(夫人)'으로 기록된 것으로 보아 왕자의 혼례임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