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동도악부 / 東都樂府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에 김종직(金宗直)이 지은 악부시. 『점필재집(佔畢齋集)』 권3에 모두 8편이 실려 있다. ① 신라 유리왕 때 팔월대보름 길쌈놀이를 묘사한 「회소곡(會蘇曲)」, ② 눌지왕이 왜(倭)와 고구려에 볼모로 가 있던 두 아우를 다시 고국으로 돌아오게 한 기쁨을 노래로
동동 / 動動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고려시대에 구전되어 내려오다가 조선시대에 문자로 정착된 듯하다. 가사는 한글로 『악학궤범』에, 작품해설은 『고려사』 악지(樂志) 속악조(俗樂條)에 각각 실려 있다. 내용에 남녀간의 애정을 그린 것이 많다 하여 고려시대의 속요(俗謠)
동동주 [생활/식생활]
찹쌀로 빚은 맑은술에 밥알을 동동 뜨게끔 빚은 술. 『목은집(牧隱集)』에 기록이 보이는 것으로 미루어 고려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여겨지나 구체적인 제법은 『고사촬요』·『음식디미방』·『산림경제』·『양주방』·『음식방문』 등의 조선시대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고사촬요』에
동두천시 / 東豆川市 [지리/인문지리]
경기도 북부에 위치한 시. 동쪽은 포천시, 서쪽과 북쪽은 연천군, 서쪽과 남쪽은 양주시에 접하고 있다. 동경 127°00′∼127°09′, 북위 37°50′∼37°58′에 위치한다. 면적은 95.66㎢이고, 인구는 9만 7974명(2015년 현재)이다. 행정구역으로는
동락서원 / 東洛書院 [종교·철학/유학]
경상북도 구미시 임수동에 있는 서원. 1655년(효종 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장현광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76년(숙종 2)에 ‘동락’이라고 사액되어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다가 흥선대원군의
동람도 / 東覽圖 [지리/인문지리]
인문지리서인 『동국여지승람』에 첨부된 지도.고지도. 권수에 첨부된 「팔도총도(八道總圖)」 1매, 각 도의 첫머리에 첨부된 「도별도(道別圖)」 8매를 합한 9매의 지도를 말한다. 우리 나라 전도인 「팔도총도」와 「도별도」를 『동국여지승람』과 별도로 만든 지도책도 후대에
동래 / 東萊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 동래 지역의 옛 지명. 본래 장산국(萇山國, 또는 萊山國, 居漆山國)이었는데 신라가 취하여 거칠산군이라 하였으며, 757년(경덕왕 16)에 양주(良州) 영역의 동래군으로 고쳐 동평(東平)·기장(機張)의 두 현을 영현으로 삼았다. 1018년(현종 9) 울주(蔚
동래강 / 東來江 [지리/자연지리]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안북도 선천군과 북부의 천마군 경계에 있는 가인봉(佳仁峯, 535m) 남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선천군과 곽산군 경계지역을 따라 서해로 흘러드는 강. 동래강의 길이는 45.5㎞이고, 유역면적은 303㎢, 유역평균너비는 6.6㎞, 하계망밀도는 0.51㎞/
동래고지도 / 東萊古地圖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동래부 일대를 회화식으로 그린 지도.고지도. 세로 132.5㎝, 가로 78.5㎝ 크기의 한지에 수묵담채로 그린 조감도 형태의 지도로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의 『동래·부산 고지도』와 1872년(고종 9) 경에 제작된 규장각 소장의 『동래군현지도』와 같은 형식이다
동래구 / 東萊區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 북동쪽에 위치한 구. 부산광역시 동래구는 동쪽으로 해운대, 서쪽으로 북구, 남쪽으로 연제구, 북쪽으로 금정구에 접하고 있다. 위치는 동경 129°02'∼129°07', 북위 35°10'∼35°13'이며, 면적은 16.63㎢, 인구는 27만 2837명이다. 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