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동남방언 / 東南方言 [언어/언어/문자]

    대체로 경상남북도 전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충청북도 영동군 황간면과 황금면 및 전라북도 무주군 무풍면과 남원시 동면·산내면 등도 동남방언에 속할 가능성이 짙다. 강원도와는 대체로 현재의 도 경계에서 나뉘며, 전라남도와도 대체로 행정구획상의 도 경계에서 나뉘나 섬진강

  • 동녕부 / 東寧府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에 서경에 설치된 원나라 통치기관. 원의 세조(世祖)는 1270년 비령을 경계로 삼아 그 이북지방은 모두 원나라의 소유로 한 뒤 서경에 동녕부를 설치하고 최탄으로 동녕부총관을 삼았다. 1275년(충렬왕 1) 동녕부총관부로 승격시켰다. 그러나 1370년(공민왕

  • 동녕현전투 / 東寧縣戰鬪 [역사/근대사]

    1933년 한국독립군이 중국 의용군과 중국 공산당 계열의 유격대 등과 연합하여 동만주 동녕현성에 주둔한 일본군과 만주군을 공략한 전투. 한국독립군 등 연합부대는 이 전투에서 비록 패배하였지만, 수백 명의 일·만군을 살상하고 대량의 전리품을 노획하는 전과를 거두었다. 이

  • 동대 / 銅鐓 [예술·체육/공예]

    초기철기시대의 무기 장식. 길이 7.8㎝. 동경국립박물관 소장. 일본인 오쿠라(小倉武之助)의 수집품으로 일본 중요미술품으로 지정되었다. 창의 자루 아래쪽 끝에 끼우는 통형(筒形)의 장식이다.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입실리 출토로 전한다. 하부가 볼록하며 막혀 있고, 위쪽

  • 동대구역 / 東大邱驛 [경제·산업/교통]

    대구광역시 동구 신암동에 있는 기차역. 대구시의 인구증가로 대구역이 협소하여 확장이 필요했고, 현대화 도시계획에 따라 1966년 7월 16일 착공하여 1969년 6월 10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으며, 1971년 3월 1일 화물 및 구내 업무를 개시하였다. 1971

  • 동대문구 / 東大門區 [지리/인문지리]

    서울특별시의 동부에 위치한 구(區). 동쪽은 중랑천을 경계로 중랑구와 접하고, 서쪽은 성북구와 종로구, 남쪽은 성동구, 북쪽은 도봉구와 접해 있다. 위치는 동경 127°01′∼127°04′, 북위 37°33′∼37°35′이다. 면적은 14.21㎢, 인구는 36만 153

  • 동대문운동장 / 東大門運動場 [예술·체육/체육]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7가 1에 있었던 종합경기장. 서울특별시에서 소유, 관리하였다. 1925년 5월에 서울 인구 25만명을 기준으로 기공하여 1925년 10월에 준공되었다.준공 후 우리나라 최초의 종합경기대회인 제10회 전조선경기대회가 1929년에 개최되었고, 이어

  • 동대산 / 東臺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과 도암면 및 강릉시 연곡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434m이며, 오대산을 이루는 다섯봉우리 중의 하나이다. 태백산맥 줄기인 해안산맥에 속한 산으로 북쪽에 두로봉(頭老峰, 1,422m), 서쪽에 서대산(西臺山)·호령봉(虎嶺峰, 1,042m), 동

  • 동도 / 東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동도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286명(남 135명, 여 151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138세대이다. 취락은 360여 년 전 추씨(秋氏)가 들어와 살면서 형성되었다고 전해오는데, 서쪽 해안에 입지한 유촌마을과 죽촌마을에

  • 동도서기론 / 東道西器論 [교육/교육]

    1880년대 초 김윤식·신기선 등이 주창한 전통적인 제도와 사상은 지키되 근대 서구적인 기술은 받아들이자는 이론. 사상이 전통과 연속되는 내재적 측면에서 보수성이 생기고, 근대 서양자본주의 및 과학·기술과 연결되는 외래적 측면에서 진보성이 생겨, 결국 이 양면을 하나로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