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총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용화산 / 龍華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화천군 간동면·하남면과 춘천시 사북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877.8m. 화천에서 남쪽으로 약 8㎞, 춘천에서 북쪽으로 약 20㎞ 지점에 위치하고, 동남쪽으로는 고탄령(古灘嶺)과 사야령(四夜嶺)을 지나 소양강에 이른다. 남쪽 사면을 흘러내리는 양통개울은 남서쪽
용흥강 / 龍興江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고원군 운곡면의 각고산(角高山, 1,038m) 남쪽에서 발원하여 영흥평야를 관류하며 송전만(松田灣)으로 흘러드는 강. 길이 134.8㎞. 유역 면적 3,397㎢. 각고산 남쪽 계곡을 흘러 영흥군 횡천면 산성리에서 흘러오는 하천과 합쳐지고 다시 창평에서 입석천(
우도 / 友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명동에 속하는 섬. 진해 동남쪽 0.5㎞ 지점에 있다. 동경 128°44′, 북위 35°05′에 위치하며, 면적 0.06㎢, 해안선길이 1㎞, 인구 202명(1994년 현재)이다. 하나의 작은 구릉(최고높이 55m)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안은
우도 / 牛島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에 있는 섬. 동경 120°57′, 북위 33°30′에 위치하며, 구좌읍 종달에서 약 2.8㎞ 떨어져 있다. 면적은 6.18㎢이고, 해안선길이는 17.0㎞이다. 섬 전체가 우도면에 속하며, 천진리․서광리․오봉리․조일리의 4개 리가 있다. 제주
우도 / 牛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고흥군 남양면 남양리에 있는 섬. 동경 127°19′, 북위 34°19′에 위치하며, 득량만(得糧灣)의 내측에 있다. 남양면 남양리에서 서쪽으로 1.3㎞ 지점에 있다. 면적은 0.46㎢이고, 해안선 길이는 3.3㎞이다. 섬의 동쪽과 남양면 해안을 연결하는 시멘
우두령 / 牛頭嶺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김천시 대덕면과 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사이에 있는 고개. 높이 580m. 소머리처럼 생겼다 하여 우두령이라 한다. 이 고개는 소백산맥의 대덕산(大德山, 1,290m)에서 동쪽으로 가야산(伽倻山, 1,430m) 방면으로 뻗는 지맥(支脈) 중의 국사봉(國士峰,
우목도 / 牛目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 구대리에 있던 섬. 동경 126°05′, 북위 34°43′에 위치하며, 목포에서 남서쪽으로 25㎞ 지점에 있다. 면적은 1.57㎢, 해안선 길이는 12㎞이었다. 내우목도와 외우목도가 장고도(長古島)를 사이에 두고 남북 방향으로 놓여 있었는데, 방
우이군도 / 牛耳群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도초면 우이도리에 있는 군도. 목포에서 서남쪽으로 약 63㎞ 해상에 있다. 우이도(牛耳島)를 비롯하여 서소우이도·동소우이도 등 유인도와 백도(白島)·죽도(竹島)·비도(鼻島) 등 무인도를 포함한 27개의 크고 작은 섬으로 구성된다. 우이군도는 우리나라의
우이도 / 牛耳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도초면 우이도리에 있는 섬. 450여 년 전 파평윤씨가 들어와 살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원래는 진도군 흑산면에 딸린 섬이었으나 1896년에 지도군 흑산면에 편입되었다. 1914년에 행정구역 개편으로 무안군 흑산면에 편입되었다. 1962년에 도초면에 편입
우포 / 牛浦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과 유어면ㆍ대합면에 걸쳐 있는 늪지성 호수. 이곳에는 논병아리ㆍ백로ㆍ왜가리ㆍ고니 등의 조류를 비롯하여 습지식물인 가시연꽃, 창포, 마름 등 총 342종의 동·식물이 서식하는 자연생태계의 보고로 1997년 7월에 생태ㆍ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ㆍ고시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