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개념용어 총 1,896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개념용어
강역 / 彊域 [지리/자연지리]
경계·변방·봉역·영역의 의미를 갖는 강토의 구역. 전자는 국경이라는 말로 대치 사용할 수 있고, 후자는 영토라는 말로 바꾸어 쓸 수 있다. 즉, 강역이라는 말은 개념이 세분화되기 이전에 사용된 복합 용어라 할 수 있고, 국경이나 영토는 근대적 개념의 용어라 할 수 있다
강원도방언 / 江原道方言 [언어/언어/문자]
강원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 강원도방언은 중부방언의 한 하위 방언으로, 휴전선을 기준으로 이북 지역(이천·평강·김화·회양·통천)을 제외하고 이남 지역(철원·화천·양구·인제·고성·춘천·홍천·양양·횡성·평창·강릉·원주·영월·정선·삼척)의 방언을 주로 이르며, 태백산맥
강조법 / 强調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修辭法)의 하나. 비유법(比喩法)이나 변화법(變化法)에 속하지 않는 모든 표현기법으로서,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선명하고 뚜렷하게 드러내기 위하여 과장(誇張)·영탄(詠嘆)·반복(反復)·점층(漸層)·대조(對照)·현재(現在)·미화(美化)·열거(列擧)·비교(比較)·억
강호가도 / 江湖歌道 [문학/고전시가]
조선시대 시가 문학에 널리 나타난 자연 예찬의 문학 사조. 조윤제(趙潤濟)가 처음으로 개념을 정립하였다. 조선시대의 시가 작품, 예컨대 「강호사시가」·「상춘곡」·「어부사시사」·「창랑곡 滄浪曲」 등으로, 제목 자체부터 그 내용이 자연 예찬임을 짐작하게 한다. 자연 예찬은
강화반닫이 / 江華- [예술·체육/공예]
강화지역에서 제작된 의복·옷감·제기 등을 넣어 두는 반닫이. 표준치수 높이 80∼100㎝, 앞 너비 90∼100㎝, 옆 너비 45∼50㎝. 과거의 왕실용 반닫이를 이곳에서 주로 제작하였던 까닭에 그 구조가 특이하고 정교하여 반닫이 가운데 가장 화려하고 비싸다.다른 반닫
개가 / 改嫁 [사회/가족]
과부나 이혼녀가 다시 시집가는 것. 부부 중 어느 일방이 사망하거나 이혼으로 인하여 부부관계가 해소되면 재혼하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질지도 모르지만 우리의 전통사회윤리는 그렇지 못했다. 조선시대에는 재혼은 거의 남성에게만 국한되어 있었다. 즉, 남성의 재혼과 여
개간 / 開墾 [경제·산업/산업]
산림·황무지·하천부지 등을 농경지 등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관개시설·제방·도로 등을 신설 또는 조성하는 일. 개간의 형태에는 대체로 계단식 개간, 원지형 개간(原地形開墾), 개답(開畓) 등이 있다. 계단식 개간은 경사지 개발의 한 형태로서, 등고선에 따라 흙을 정지하고
개발제한구역 / 開發制限區域 [지리/인문지리]
도시의 무질서한 팽창을 억제하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에서 도시개발을 제한하도록 지정한 구역. 개발제한구역은 도시주변지역을 띠 모양으로 둘러싸는 형태를 이룬다. 개발제한구역은 지정된 지역의 형편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공통된 목적을 지닌다.
개발촉진지구 / 開發促進地區 [지리/인문지리]
낙후지역의 소득기반 조성 및 생활환경 개선을 위하여 국토교통부가 주관하여 실시하는 낙후지역에 대한 지원제도. 지역 간 불균형 해소와 효율적인 국토개발·이용을 위해 실시되었던 (구)특정지역개발제도가 지정기준의 모호함과 지원방안 미흡으로 실효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면서,
개벽 / 開闢 [종교·철학/신종교]
선천(先天)과 후천(後天)이 바뀌는 것. 기본적으로 <주역>의 선후천사상에 근거하고 있다. 개벽의 내용은 두 가지로 구분된다. 동학과 원불교 등에서 주역팔쾌를 그대로 수용한 개벽과 김일부의 정역(正易)과 같이 주역에 있는 팔괘의 위치를 변경한 새로운 역학체계에 근거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