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근대 > 일제강점기 2,118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근대 > 일제강점기
  • 강도구 / 姜道求 [역사/근대사]

    1902-미상. 일제 강점기 사회주의운동가. 본적은 함경남도 홍원(洪原)이다. 학천보통학교와 서울 중동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중동학교 재학 시절 북풍회계 학생운동단체인 서울학생구락부 간부로 활약하였다. 1925년 도쿄에서 약 2년간 하던 공부를 학비부족으로 중단하고 귀

  • 강도영 / 姜道永 [종교·철학/천주교]

    항일기의 천주교인·신부(1863-1929). 우리나라 처음으로 사제로 서품된 한국인 신부 3인 중 한 명으로, 세례명은 마르코이다. 1896년 약현성당에서 사제서품을 받았고, 경기도 안성의 미리내 본당의 초대 주임신부로 부임했으며, 첫번째 한국인 신부인 김대건 안드레

  • 강동범 / 姜東範 [역사/근대사]

    1892-미상. 일제 강점기 사회주의운동가. 본적은 함경북도 성진(城津)이고, 거주지는 중국이다. 1929년 8월 북간도(北間島) 혁명자구원회 회원으로 활동하였다. 1925년 김재봉(金在鳳)·유진희(兪鎭熙)·김약수(金若水) 등이 서울에서 항일투쟁 방식을 공산주의 방식

  • 강두석 / 姜斗錫 [역사/근대사]

    1903-미상. 일제 강점기 사회주의운동가. 본적은 경상남도 진주(晉州)이다. 일본 도쿄의 중앙대학 경제과를 졸업한 후 귀국하였는데, 일본 유학 당시 사회과학 연구를 통해 공산주의 사상을 받아들였다. 1928년 2월 진주농민연맹이 창립되자 쟁의부 의원에 임명되었으며,

  • 강두안 / 姜斗安 [역사/근대사]

    1922-1944. 독립운동가. 경상남도 통영 출신. 1939년 대구사범학교 재학중 박효준(朴孝濬)·이태길(李泰吉)·문홍의(文洪義) 등과 함께 비밀결사를 조직할 것을 결의하였다. 그리하여 일제의 감시를 피하기 위하여 표면상으로는 문예활동을 표방하여 대구사범학교 문예부를

  • 강만년 / 姜萬年 [역사/근대사]

    미상∼1919. 일제 강점기 의병·독립운동가. 본적은 평안북도 강계(江界)이다. 자세한 활동 이력 및 출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백삼규(白三圭)·박장호(朴長浩)·조맹선(趙孟善) 등이 주축이 되어 조직한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에 가담하여 활동하였다. 친일파 숙

  • 강매 / 姜邁 [종교·철학/개신교]

    1878-1941. 장로, 기독교 문필가. 최병현, 전덕기 등과 교류하면서 기독교인이 되었다. 정동교회에 출석하였으며, 장로로 시무하였다. 1907년 일본대학 고등사범 수법과를 졸업하였다. 귀국후 배재학당 등에서 가르쳤다. 언론계에도 투신하여 조선일보, 중앙일보, 시대

  • 강명규 / 姜明奎 [역사/근대사]

    1896-1983. 독립운동가. 본관은 진주. 호는 위석(渭石). 황해도 봉산 출신. 경성사립오성학교(京城私立五星學校)를 졸업하고 보성전문학교 상과에 재학중에 3·1운동에 참가하고, 대일무력항쟁을 계획하려다 비밀이 누설되어 상해(上海)로 망명하였다. 1922년 나석주

  • 강명수 / 姜明秀 [역사/근대사]

    1908-미상. 일제 강점기 사회주의운동가. 1927년 중국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신흥동(新興洞)에서 동불청년회(東佛靑年會)를 조직하고 청년회 고문직을 맡아 활동하면서 청년들의 항일의식을 고취시키는 한편, 당면 과제에 대한 문제 해결방안 등을 역설하며 힘썼

  • 강명화실기 / 康明花實記 [문학/현대문학]

    이해조(李海朝)가 기생 강명화(康明花)의 자살사건을 소재로 하여 집필한 중편소설. 이해조의 마지막 작품으로 1925년 1월 18일 회동서관에서 초판이 발행되었다. 기생이라는 신분의 한계로 인해 연인 장병천과 결혼할 수 없게 되자 1923년 6월 자살로 생을 마감한 실존

1 2 3 4 5 6 7 8 9 10 끝
페이지 / 212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