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동국사기 / 東國史記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책. 조선 태조 건국설화로부터 영조 때까지의 역대 왕과 장수의 기담을 기년체(紀年體)로 엮은 패사소설(稗史小說)이다. 대표적인 패사로는 이성계(李成桂)의 조선건국 내용을 담은 「이조건국설화(李朝建國說話)」, 영웅으로 태어났다가 억울한 죽음
동국사략사대문궤 / 東國史略事大文軌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정서류(政書類) 조선사편수회(朝鮮史編修會) 편, 영인본, 서울, 조선총독부, 1935, 목록 1책, 23권 23책(합 24책). 조선총독부 조선사편수회에서 구규장각본잔존본 23권(전 54권)의《동대문궤(東大文軌)》(훈련도감자본)를《조선사사료총간(朝鮮史史
동국산천록별집 / 東國山川錄別集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우리나라의 자연환경과 인물, 풍속 등을 기록한 지리서.인문지리지.1책(29장). 필사본. 표지에는 ‘東國山川別錄(동국산천별록)’이라 되어 있다. 일명 ‘동국총화록(東國總貨錄)’이라고도 하였다. 편찬연대는 갑신년에 필사하였다고 되어 있는데, 1764년(영조 4
동국세보 / 東國世譜 [사회/가족]
우리나라 역사상 중요인물을 성씨와 본관별로 계보를 밝힌 책. 5권.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1850∼1863년(철종대)까지 왕족을 포함하여 성씨와 본관별로 족보체재에 따라 그 계보를 밝히면서 중요인물의 관직·행적·부인·사위까지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관직의 품
동국세시기 / 東國歲時記 [생활/민속]
우리나라 세시풍속을 모아 정리한 책. 조선 순조 때의 학자 홍석모(洪錫謨)가 중국 종름(宗凜)의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를 모방하여 우리 민속을 정리하여 <동국세시기>를 지었다. 이 책은 원래 한 권의 필사본으로 전해져 왔는데, 홍승경(洪承敬)이 광문회(光文會)에 기
동국신속삼강행실도 / 東國新續三綱行實圖 [언론·출판/출판]
1617년(광해군 9) 왕명에 의하여 홍문관부제학 이성(李惺) 등이 편찬한 책. 18권 18책. 목판본. 원래 1615년에 그 편찬이 완성되었으나, 간행에 막대한 경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각 도의 경제력에 비례하여 전라도 6책, 경상도 4책, 공홍도(公洪道 : 충청도)
동국십지 / 東國十志 [지리/인문지리]
1855년 배상현이 전통시대의 전장제도(典章制度)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편찬한 유서(類書).문물제도서. 3권 3책. 전통 시대 전장제도(典章制度)를 유형별로 나누어 편찬한 백과 사전적인 책이다. 서문은 찬자와 이만인(李晩寅), 발문은 강진규(姜晉奎)가 썼다. 배상현이 쓴
동국씨족고 / 東國氏族攷 [사회/가족]
조선 말기 노상직(盧相稷)이 우리나라 역사상 저명한 인물을 성씨의 본관별로 기술한 책. 6권 3책. 목판본. 간행연대는 정미(丁未)로만 밝혀져 있어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1907년으로 추정된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역사상 저명한 인물을 분류하는 기준으로서 시
동국악보 / 東國樂譜 [문학/고전시가]
홍만종(洪萬宗 : 1643∼1725)이 편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가사집. 고종 31년(1894)에 간행된 『송강별집(松江別集)』 권7에 인용된 일서(逸書)로, 『송강별집』이 인용한 『동국악보』의 평어(評語)가 홍만종의 『순오지(旬五志)』에 있는 장가평어(長歌評語)와 일
동국악부 / 東國樂府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광사(李匡師)와 그의 아들 영익(令翊)이 지은 악부시. 조선 후기에 이광사(李匡師)와 그의 아들 영익(令翊)이 지은 악부시. 이광사의 문집 『원교집 圓嶠集』에 전한다. 원래 이광사가 「해동악부 海東樂府」라 하여 30수를 지었는데, 여기에 그의 아들이 화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