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동구(부산광역시) / 東區(釜山廣域市) [지리/인문지리]
부산광역시 중앙 남단에 위치한 구. 부산광역시 동구는 동쪽으로 남구, 서쪽으로 서구와 중구, 북쪽으로 부산진구와 접하여 남쪽으로는 부산만에 연해 있다. 동경 129°05'∼129°15', 북위 35°84'∼35°88'에 위치하며, 면적은 9.73㎢, 인구는 9만 206
동구(울산광역시) / 東區(蔚山廣域市) [지리/인문지리]
울산광역시 동부에 위치한 구(區). 울산광역시 동구의 지형은 동부와 남부가 바다와 접해 있으며, 북부와 서부는 산지로 둘러싸여있다. 동경 129°21′∼129°31′, 북위 35°28′∼35°34′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36.03㎢, 인구는 17만 4963명(20
동구(인천광역시) / 東區(仁川廣域市)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 서부에 위치한 구(區). 인천광역시 동구는 동쪽으로 남구와 부평구, 서쪽으로 중구 영종도, 남쪽으로 연수구, 북쪽으로 서구에 접하고 있다. 위치는 동경 126°35′∼126°39′, 북위 37°27′∼37°29′이며, 면적은 7.19㎢, 인구는 7만 2572
동국대지도 / 東國大地圖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지리학자 정상기가 전국 8도의 지리 정보를 표시하여 영조 연간에 제작한 지도.고전도. 지도의 전체적인 형태와 수록된 내용으로 볼 때 정상기의 『동국지도』의 원형을 가장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도이다. 정상기의 『동국지도』는 백리척(百里尺)이라는 독창적인 축척이
동국명산기 / 東國名山記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실학자 성해응이 전국의 명승지에 대하여 정조 연간에 편찬한 지리서. 1책 66장. 사본. 이 책은 전국을 경도(京都)·기로(畿路)·해서(海西)·관서·호중(湖中)·호남·영남·관동·관북 등 9구역으로 구분하여 내용을 엮었다. 경도산수편(京都山水篇)에는 인왕산(仁
동국명현언행록 / 東國名賢言行錄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전기류(傳記類) 이병관(李炳觀) 편, 신연활자본, 1927년, 4권 1책. 구성은 서언, 범례, 서, 총목, 제1편-제4편이다. 신라부터 조선에 이르기까지 유학의 발전에 공헌이 큰 유학자 150여명의 행적과 언행을 기록한 책이다.
동국문감 / 東國文鑑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의 문신 김태현(金台鉉)이 편집한 시문선집(詩文選集). 우리나라 최초의 문선집인데 실전되어 전하지 않는다. 고대로부터 고려 말엽까지의 제가(諸家)의 시문을 수록했다고 한다. 서거정(徐居正)의 『동문선 東文選』 서문에, “김태현이 편찬한 『문감』은 소략하여 실패
동국문헌 / 東國文獻 [언론·출판]
저자 김성은(1765-1830). 목판본. 2권 2책. <동국문헌>은 2권 2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1책 맨 앞에 총목이 있는데 '필원', '화가'의 경우 총목에는 적혀있으나, 1책의 권말에는 누락되어 있다. 2책의 권말에는 '순조 4년(1804)에 김성은이 교정을
동국문헌비고 / 東國文獻備考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의 정치·경제·문화 등 각종 제도와 문물을 분류, 정리한 책. 1770년(영조 46) 홍봉한 등이 왕명을 받아 처음 100권으로 편찬했다. 각종 제도를 여지·예·병·형·학교 등 13고로 분류해 연대순으로 정리했다. <동국문헌비고>의 편찬목적은 각종 제도의 연혁과
동국병감 / 東國兵鑑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별사류(別史類) 문종(文宗) 명편, 신역활자본, 경성, 조선광문회(1911), 2권 1책. 판권기는 명치44년(1911) 7월 20일 최남선(崔南善)으로 되어 있다. 문종의 명으로 간행한 우리나라의 전사, 조선광문회에서 민제호(閔濟鎬)의 기증본으로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