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동계집 / 東溪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박태순의 시문집. 10권 5책. 목판본. 1736년(영조 12) 손자 사집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성명의 서문이 있다. 권1∼5에 시 734수, 잡체 23수, 권6·7은 잠·송·명 각 1편, 찬 2편, 교서 3편, 전 6편, 장 5편, 상

  • 동계집 / 東溪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학자 유진성의 시문집. 4권 2책. 석인본. 1941년에 증손 병찬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1에 시 123수, 권2에 서 12편, 전 2편, 잡저 4편, 서 4편, 권3에 기 10편, 상량문 4편, 애사 1편, 축문 2편, 제문 22편, 묘갈명

  • 동곡서원 / 東谷書院 [교육/교육]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동사리에 있는 서원. 조선시대 철종 때 지방유림의 공의로 조신(趙愼)의 충절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가, 유림들의 지속적인

  • 동과 / 銅戈 [역사/선사시대사]

    청동기시대·초기철기시대의 청동무기. 길이 19.9㎝. 일본 동경국립박물관 소장. 오쿠라(小倉武之助)의 수집품으로 일본 중요미술품으로 지정되었다.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입실리 출토로 전한다. 등대가 갈리지 않았고, 등대의 좌우에 나 있는 홈이 봉부(鋒部)쪽 상단의 한

  • 동관진 / 潼關鎭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종성군 종성면 동관동에 있었던 옛 진(鎭). 본래 고구려와 발해의 영토였으나 뒤에 여진족이 들어와 수주(愁州)라 하였다. 1435년(세종 17) 여진을 물리치고 여기에 진을 두어 관북지방의 오랑캐를 막던 국방의 요새였으며, 동관소천(潼關小川)이 있어서 두만강으

  • 동관진유적 / 潼關鎭遺蹟 [역사/선사시대사]

    함경북도 종성군 종성면 동관리에서 발견된 구석기시대의 유적. 이 유적의 지층은 표토밑이 제1황토층(북쪽단애 3.5m, 서쪽단애 2.0m)이며, 그 밑으로 차례로 흑색을 띤 황토층(2.4m), 제2황토층(2.8m)이고, 그 아래는 가는 모래와 작은 자갈이 섞여 있으며(1

  • 동광양 / 東光陽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광양 지역에 있었던 지명. 본래는 광양군이었으나, 1966년 광양군 골약면에 태인출장소가 설치되었고, 1981년 광양제철소의 입지가 확정됨에 따라 이의 건설에 따른 지원을 위하여 1983년 태인출장소가 태금면으로 승격되었다. 1986년 광양군 골약면과 태금면

  • 동구(광주광역시) / 東區(光州廣域市) [지리/인문지리]

    광주광역시 동부에 위치한 구(區). 광주광역시 동구는 동쪽으로 화순군, 서쪽으로 서구(西區), 남쪽으로 전라남도 화순군과 남구(南區), 북쪽으로 북구(北區)와 접하고 있다. 동경 127°01'∼126°54', 북위 35°04'∼35°09'에 위치하고 있으며, 면적은 4

  • 동구(대구광역시) / 東區(大邱廣域市) [지리/인문지리]

    대구광역시 북동부에 위치한 구(區). 동쪽으로는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과 하양읍, 서쪽으로는 북구·경상북도 칠곡군, 남쪽으로는 경산시, 북쪽으로는 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 영천시 신령면과 접하고 있다. 동경 128°36′∼128°45′, 북위 35°50′∼36°00′에

  • 동구(대전광역시) / 東區(大田廣域市) [지리/인문지리]

    대전광역시 동부에 위치한 구. 북쪽으로 대덕구, 동쪽으로 충청북도 보은군과 옥천군, 남쪽으로 충청남도 금산군, 서쪽으로 중구와 접하고 있다. 위치는 동경 127°24'∼127°33', 북위 36°11'∼36°25'이며, 면적은 136.67㎢, 인구는 23만 9579명(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