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동검도 / 東檢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동검리에 있는 섬.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232명(남 112명, 여 120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120세대이다. 취락은 섬의 서쪽과 동북쪽에 주로 분포하며 남쪽 해안에 일부가 있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0.09㎢, 밭 0.23㎢
동경 / 銅鏡 [역사/선사시대사]
구리로 만든 거울. 동판(銅板)의 표면을 잘 다듬고 문질러 얼굴을 비추어볼 수 있게 한 것으로, 뒷면에는 가지가지 아름다운 문양이나 길상어(吉祥語) 등을 새겨 사용하였다. 청동기시대에 이미 고도의 기술이 필요한 정교한 작품이 만들어졌으나 삼국시대 이래 통일신라시대까지는
동경대전 / 東經大全 [종교·철학]
동학경전 중의 하나. 용담유사와 함께 동학의 2대 경전에 속한다. 포덕문, 논학문, 수덕문, 불연기연의 네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동학의 제2대 교주인 최시형이 1880년 강원도 인제군 남면 갑둔리에서 완간하였다. 포덕문은 525자, 논학문은 1,338자, 수덕문 1,0
동경성전투 / 東京城戰鬪 [역사/근대사]
1933년 6월 한국 독립군이 중국군과 연합해 동경성(東京城)을 탈환한 전투. 한국 독립군은 1932년 중국호로군 정초(丁超)와 협의한 뒤 한·중연합군으로써 토일군(討日軍)을 조직하여, 1933년 5월 3일 전 병력을 동원해 영안현성과 동경성을 공격하였다.
동경유록 / 東京遊錄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박종(朴琮)이 지은 기행문. 동해안 경승지와 경주를 여행한 견문록이다. 박종의 문집인 『당주집(鐺州集)』 권14 「유록(遊錄)」에 실려 있다. 1767년(영조 43) 9월 25일이눌(李訥)과 함께 경주 나들이를 시작하여 3도(道) 27군(郡) 1,110리(
동경일기 / 東京日記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지리류(地理類) 송동산(宋東山) 저, 필사본, 1881년(고종 18), 불분권 1책(53장). 송동산이 일본에 머물면서 쓴 일기이다. 1881년 3월 11일부터 윤7월 23일까지의 일기와 병고현(兵庫縣)에 대한 내용이다.
동경잡기 / 東京雜記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지리류(地理類) 민주면(閔周冕) 증보, 목판본, 3권 3책. 표제는 동경지(東京誌), 판심제는 잡기(雜記)로 되어 있다. 경상도 경주부 지지로, 작자 미상의《동경지》를 증보한 것이다.
동경통지 / 東京通志 [지리/인문지리]
최준이 『동경잡기』를 수정·보완하여 1933년에 간행한 지방지. 14권 7책. 활자본. 최남선(崔南善)과 정인보(鄭寅普)의 편집 자문을 받아서 펴낸 것이다. 내용 구성은 다음과 같다. 권1은 족본편(族本篇), 권2·3은 왕기편(王紀篇), 권4는 연혁(沿革)·강역(疆域)
동계 / 洞契 [사회/촌락]
마을 또는 동리의 복리증진과 상호부조를 위하여 공유재산을 마련하고 관리하는 자치 조직. 계란 특정 목적을 위하여 여러 사람이 모여 공동으로 기금을 염출하고, 그 기금으로 식리(殖利)하여 목적을 달성하려는 결사체이다. 전통 촌락은 대부분 촌락의 복리증진과 협동, 동제 등
동계집 / 東溪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박만정의 문집. 4권 2책. 필사본. 권1에 서 9편, 잡저 2편, 서 7편, 기 1편, 발 6편, 권2에 제문 12편, 행장 2편, 묘지명 1편, 묘지 3편, 묘갈명 1편, 권3은 부록으로 가장, 언행록 1편, 국조실록초 1편, 권4에 잡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