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돌태 [경제·산업/산업]
흙덩이를 고르거나 씨앗이 바람에 날리지 않도록 땅을 다지는 데 쓰는 연장. 돌태는 남태와 같은 구실과 기능을 하지만, 나무 몸체에 나무살이 박혀 있는 농기구인 남태의 형상과는 좀 다르다. 길이 70㎝ 안팎의 둥그스름한 돌덩이에 구멍을 뚫고 끈을 꿰어 쓰거나 쇠고리를 달
돌확 [경제·산업/산업]
고추·마늘 등 양념이나 곡식을 가는 데 쓰는 연장.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보통 자연석을 우묵하게 파거나 번번하고 넓적하게 판 것 등이 있는가 하면, 오지로 되어 버치(너럭지) 형태의 그릇 안쪽에 우툴두툴하게 구워낸 것도 있다. 돌로 만든 것에는 손에 쥘만한 둥근
동가선 / 東歌選 [문학/고전시가]
1830년(순조 30)대에 편찬된 편자 미상의 가집. 유명씨 작품 142수, 무명씨 작품 93수로 총 235수가 실려 있다. 책머리에 평조(平調)·우조(羽調) 등의 용어에 대한 간략한 해설을 하고, 초중대엽(初中大葉)·이중대엽(二中大葉) 등 곡조에 따라 편차를 두었다.
동강 / 東江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의 남쪽 가수리에서 영월군에 이르는 강. 총 길이 약 65㎞이다. 영월읍 동쪽을 흐르는 남한강의 별명이다. 동강 유역에는 천연기념물 제206호인 백룡동굴을 비롯하여 많은 석회동굴과 기암절벽 등이 가을단풍과 어우러져 국내 최대의 비경을 이루고 있다.
동강서당 / 桐岡書堂 [교육/교육]
경상북도 의성군 사곡면 오상리에 있는 서당.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85호. 이 서당은 퇴계이황의 삼종손인 동강(桐崗)이희정(李希程)에 의해 건립하였다. 이 서당의 지붕 기와 일부에 ‘順治 七年 八月日(순치 7년 8월일)’이라는 중국 연호가 새겨져 있는 것으로 보아 1
동강서원 / 東江書院 [종교·철학/유학]
경상북도 경주시 강동면 유금리에 있는 서원. 1695년(숙종 2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손중돈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었다. 훼철 직후인
동개 / 筒箇 [생활/의생활]
화살집과 활을 넣는 통을 한 줄로 묶어 왼편 어깨에 매게줄로 연결된 제구. 화살집은 시복(矢腹)이라고 하는데 저피(猪皮 : 돼지가죽)로 만들었으며, 활을 넣는 통은 궁대(弓袋)라 하였는데 모양이 버선과 비슷하며 천 또는 가죽으로 만들었다. 등에 질 때에는 왼쪽 어깨에
동거집 / 東渠集 [종교·철학/유학]
동거 송정환의 시문집. 목판본 4권 2책. 풍산김씨 김세락의 서문과 선성김씨 김석이 동거 사후 200여년 뒤 1925년에 기록한 발문이 있고, 족후손 계흠과 동구의 5세손 인옥의 후지가 있다.
동거차도 / 東巨次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동거차도리에 있는 섬.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167명(남 80명, 여 87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79세대이다. 취락은 섬의 동쪽과 서쪽 해안에 형성된 만입부 주변에 집중해 있는데, 1700년경 진주강씨(晉州姜氏)가 처음으로 들어왔
동검 / 銅劍 [역사/선사시대사]
구리와 주석, 아연, 납 등을 섞어 녹여 부은 청동으로 만들어진 청동기시대의 무기.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동검의 종류로는 중국식동검[桃氏劍]·오르도스식동검·요령식동검(遼寧式銅劍)과 세형동검이 있다. 이 중 요령식동검과 세형동검을 제외하고는 모두 발견된 예가 적고, 분포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