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돌배나무 / Pyrus pyrifolia (Burm.) Nakai [과학/식물]

    장미과 배나무속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 또는 소교목. 중부 이남 표고 700m 이하의 산록에 자생한다. 꼭지돌배나무, 돌배, 산배나무라고도 부른다. 원산지는 한국, 중국, 일본이다. 학명은 Pyrus pyrifolia (Burm.) Nakai이다. 경상북도 청도군 청

  • 돌산군읍지 / 突山郡邑誌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돌산군(현 여수시 돌산읍)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채색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순천부읍지(順天府邑誌)』·『신증승평지(新增昇平誌)』·『여수지(麗水誌)』 등에 돌산군에 관한 기록이

  • 돌산대교 / 突山大橋 [경제·산업/교통]

    전라남도 여수시 남산동과 돌산읍 우두리를 연결하는 다리. 너비 11.7m, 길이 450.2m로 1980년 12월에 착공하여 1984년 12월에 완공되었다. 돌산대교는 진도대교와 함께 국내 최초로 사장교로 설계되었으나 진도대교 보다는 2달 늦게 완공되었다. 사장교로서 미

  • 돌산도 / 突山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에 속하는 연륙도. 여수반도의 동남쪽에 있고, 동경 127°16′, 북위 34°17′에 위치한다. 북쪽에 천마산(天馬山, 271m), 남쪽에 금오산, 서쪽에 천왕산(385m)을 비롯하여 중앙에 봉황산(441m) 등이 있으며, 동쪽에는 소규모의 들이

  • 돌산송도패총 / 突山松島貝塚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군내리 송도에 있는 신석기시대의 조개더미 유적. 유적은 섬 북쪽의 해수면과 맞닿는 비교적 낮은 언덕 자락에 형성된 조개더미로서, 조사 당시 상당부분이 경작과 태풍으로 교란, 훼손된 상태였다. 층위는 크게 4개의 퇴적층으로 이루어져 다시 7개의 작

  • 돌산향교 / 突山鄕校 [교육/교육]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읍 군내리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 중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며, 1898년(광무 2)에 명륜당, 이듬해에 풍화루를 각각 신축하였다. 1930년에는 풍화루를 중수하였고, 19

  • 돌살촉 [역사/선사시대사]

    선사시대 사냥도구의 하나인 활의 부속품으로, 화살의 머리에 붙였던 첨두기(尖頭器). 한반도에서는 신석기시대부터 초기철기시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기간 사용되었다. 그리고 여러 종류의 문화가 겹쳐 지역적 변화도 많고 기능도 변화되어 실용품 외에 의기화(儀器化)한 부장품용도

  • 돌수온천 / 突水溫泉 [지리/인문지리]

    함경북도 경성군 주남면 칠향동에 있는 온천. 지열류량은 60∼80mWm-2의 범위에 속하고 구릉성의 산기슭에 위치한 두 개의 온천공에서 자연용출되고 있다. 온천수의 화학성분은 규산 70.8ppm, 유산이온 39.7ppm 등 광물질의 총량은 312.9ppm이며, 그밖에

  • 돌아악 / 突阿樂 [문학/고전시가]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신라 제4대 탈해왕(脫解王) 때 제작된 가악(歌樂)으로 가사는 현재 전하지 않는다. 『삼국사기』 잡지(雜志) 악조(樂條)에 제목만 소개되어 있다.

  • 돌차기 [생활/민속]

    땅바닥에 여러 형태의 선을 그어놓고 일정한 순서에 따라 앙감질(한 발은 들고 한 발로만 뛰어가는것)로 돌을 차면서 나가는 여자아이들놀이. 주로 10세 안팎의 여자어린이들이 수시로 즐기는 놀이로, 두세 명이 하거나 인원이 많을 때는 편을 갈라서 한다. 돌은 ‘말’ 또는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