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총 3,384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남치원 / 南致元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성종의 부마. 충간공 지 증손, 아버지는 선산부사 경이다. 성종의 넷째딸 경순옹주를 맞아들여 의성위에 봉해지고 성동의 저택을 하사받았다. 평시서제조, 훈련원첨정을 역임하였다.
남평향교 / 南平鄕校 [교육/교육]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교원리에 있는 향교.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6호. 1420년(세종 2)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남평현 동문(東門) 밖에 창건되었다. 그 뒤 1534년(중종 29)에 남일리(南一里) 자고개[尺峴]로
남포 / 藍浦 [지리/자연지리]
지명. 조선시대 충청도에 있던 현(縣)으로 오늘날의 보령군(保寧郡) 남포면(藍浦面). 고려 공양왕 2년(1390)에 국방상 요새지로 중시되어 진을 설치하고 조선 태조(太祖) 6년에 병마사로 하여금 판현사(判縣事)를 겸임하도록 한 바 있다.
남포향교 / 藍浦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옥동리에 있는 향교. 조선 태종 때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창건되었다. 1530년(중종 25)에 중수하고 1635년(인조 13)에 중창하였으며, 1720년(숙종 46) 웅천면 대창리에서 현재의 위치로 이
남해향교 / 南海鄕校 [교육/교육]
경상남도 남해군 남해읍 북변리에 있는 향교. 조선시대 초기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그 뒤 1669년(현종 10) 10월 대성전을 중수하고 1678년(숙종 4) 명륜당(明倫堂)을 중수하였으며, 1892년(고종 2
남화경산보 / 南靴經刪補 [종교·철학/도교]
장자의 『남화경』을 풀이한 주석서. 2편 6책. 필사본. 산보한 사람과 연대는 자세하지 않다. 권두에 1721년에 쓴 선영의 자서가 있고, 다음에 범례인 장자소언(莊子小言) 12조가 있다. 내편과 외편으로 나누어서 내편은 2책으로 소요유(逍遙遊)·제물론(齊物論)·양생
남효온 / 南孝溫 [종교·철학/유학]
1454(단종 2)∼1492(성종 23). 조선 전기의 문신. 영의정 재의 5대손, 할아버지는 감찰 준, 아버지는 생원 전, 어머니는 이곡의 딸이다. 김종직의 문인, 김굉필·정여창 등과 함께 수학하였다. 생육신의 한 사람이다. 저서로는 ≪추강집≫·≪추강냉화≫·≪사우명
납가도장 / 納價導掌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궁방관리인 도장을 임명하는 방법. 도장은 궁방전(宮房田)을 관리하고 세미를 담당한 궁방관리로, 조선시대 도장으로 임명되는 데는 궁방과 당사자간의 직접적인 관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과, 도장권을 매수한 자가 도장첩(導掌帖) 발급을 요청하는 발괄(白活)을 올림으
납공노비 / 納貢奴婢 [역사]
조선시대 신공을 바치던 외거노비. 조선시대의 노비는 크게 공노비와 사노비로 나뉘었다. 공노비는 다시 그들의 의무 내용에 따라 선상노비와 납공노비로 구분되었다. 즉, 16세 이상 60세까지의 공노비 가운데 선상노비는 매년 일정 기간 동안 소속 관서에 무상으로 노역에 종
납길 / 納吉 [사회/가족]
주대(周代) 여섯 가지 혼례의식[六禮] 중의 하나. 육례란 납채(納采)·문명(問名)·납길·납징(納徵)·청기(請期)·친영(親迎)을 말하는데, 실제에 있어서는 주자의 『가례』에 따라서 의혼(議婚)·납채·납폐(納幣)·친영의 사례(四禮)를 통용하여 왔다. 납길은 가묘에서 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