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도화녀비형랑설화 [문학/구비문학]
신라 진지왕 때 미녀 도화랑(桃花娘)과 그의 아들 비형(鼻荊)에 관한 설화. 이물교구설화(異物交媾說話) 중 사자교혼(死者交婚)에 속하는 설화이다. 구전되어 오기보다는 문헌에 기록되어 전승된다. 이 도화녀비형랑의 경우 이미 죽은 왕이, 불가시적(不可視的)인 존재까지도 이
도화서 / 圖畫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에 그림 그리는 일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서. 도화서에 관한 제도적 규정은 ≪경국대전≫에 보인다. 도화서는 종6품 아문으로서 그 직능은 ‘장도화(掌圖畫)’라고만 되어 있다. 여기에는 정직으로서 제조 1인과 종6품인 별제 2인, 잡직으로서 화원 20인과
도회시 / 都會試 [교육/교육]
조선시대에 지방유생의 학업장려를 위하여 실시한 시험. 고려시대 도회가 있었는데 조선초에 폐지되었다. 그 뒤 1407년(태종 7)에 권근의 건의로 부활, 각 도 관찰사의 주관하에 매년 6월 계수관에 도회소를 설치하고 도내의 교생을 제술과 강경으로 고열하였다. 세종연간에
독거군도 / 獨巨群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독거도리와 관매도리에 속하는 군도. 독거도와 관매도를 비롯한 섬들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하고 있으며, 진도 남단 남서쪽 약 20㎞ 지점에 있다. 중심 도서인 독거도(獨巨島)를 비롯, 관매도(觀梅島)ㆍ신의도(新衣島)ㆍ개의도(開衣島)ㆍ슬도(瑟島)ㆍ
독거도 / 獨巨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독거도리에 있는 섬. 외로운 섬이라고 한자로 독고도(獨孤島)라고 쓰기도 했다. 한편 섬의 생김새가 독거시(도깨비의 사투리)처럼 생겼다 하여 독거섬·독거도·독거리라 하였다고 전해온다.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76명(남 39명, 여 37명)이 거
독권관 / 讀卷官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과거시험을 담당한 고시관. 고려 공민왕 때부터 개혁된 과거에서 왕이 최종고시를 주관함으로써 전시(殿試)가 강화되었다. 독권관은 전시에서 다수화된 고시관의 하나로서 응시자가 제출한 답안지를 읽고 그 내용이 잘 되었는가를 왕 앞에서 설명하는 직책을 맡았다.
독노회 / 獨老會 [종교·철학/개신교]
장로교의 조직. 1907년 평양장로회 신학교 제1회 졸업생 7명이 목사안수를 받으면서 조직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선교사 33명, 찬성회원 9명이 참여하여 독노회를 구성하였다. 이 독노회에서 최초의 한국인 장로교 목사가 7명 탄생하였다. 독노회는 한국장로교총
독도 / 獨島 [지리/자연지리]
대한민국 정부 소유의 국유지로서 천연기념물 제336호로 지정되어 있는 섬. 경상북도 울릉군에 속한 독도는 대한민국 정부 소유(관리청: 국토교통부)의 국유지로서 천연기념물 336호(1982년 11월 문화재청)로 지정되어 있다. 주소는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1~9
독도 사철나무 / 獨島四─ [과학/식물]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에 소재한 사철나무. 2012년 10월 5일에 천연기념물 제538호로 지정되었다. 이곳의 사철나무는 독도에서 현존하는 수목 중 가장 오래된 나무로 독도에서 생육할 수 있는 대표적 수종이라는 의미뿐만 아니라, 국토의 동쪽 끝 독도를 100년
독락당 / 獨樂堂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가사. 조선 중기에 박인로(朴仁老)가 지은 가사. ≪노계집 蘆溪集≫ 권3에 실려 있다. 3음보 혹은 4음보를 1행으로 헤아려 총 123행으로, 박인로가 지은 가사 가운데 최장편이다. 주제는 작자가 이언적(李彦迪)의 유적인 경주 옥산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