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도초도소작쟁의 / 都草島小作爭議 [역사/근대사]

    1925년 전라남도 무안군 도초면(현 신안군 도초면)에서 일어난 소작쟁의. 도초소작인회는 처음엔 지주들을 투쟁의 대상으로 삼았으나, 이 사건 이후 소작쟁의의 구체적인 투쟁대상이 일본 무장경관으로 변하였다. 무안군은 도초도 외에 암태도 등 수많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 도총관 / 都摠管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오위도총부의 정2품 무관직. 1409년(태종 9) 삼군진무소가 설치되고 1457년(세조 3) 오위진무소로 개칭되었다. 이 책임자를 도진무라 하였다. 오위진무소는 1466년(세조 12) 오위도총부로 바뀌면서 도진무가 도총관으로 바뀌었다. 도총관의 수는 5인으

  • 도총도감 / 都摠都監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 병력동원을 위하여 설치되었던 임시관서. 고려 말기 정규병력만으로는 극렬해진 왜구의 침입과 노략질에 대처할 수 없게 되자, 1363년(공민왕 22) 개경5부의 인민으로 구성된 방리군을 조직하여 왜구의 침략에 대처하게 하였다. 그리하여 대호와 중호의 경우는 5호,

  • 도총섭 / 都摠攝 [정치·법제/법제·행정]

    나라에서 내렸던 승려에 대한 직책 중 최고의 승직. 왕사 나옹이 선교도총섭의 직명을 가졌던 것으로 보아 고려 말에도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직명이 널리 보편화된 것은 선조 때부터이다. 이 승직은 국가적인 성격을 강하게 띠었던 것으로 조정에서 직명을 내리는 것이 상례

  • 도총제사 / 都摠制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삼군도총제부의 최고지휘관. 삼군도총제부는 1391년(공양왕 3)에 이성계가 당시 중앙 및 지방의 여러 원수에게 분할되어 있던 병권을 통합하여 완전히 장악하기 위해 종래의 전투군 편제인 오군에서 전군과 후군을 없애고 삼군으로 편성한 것이다. 이성계가 초대 도

  • 도치법 / 倒置法 [언어/언어/문자]

    수사법 중 변화법의 하나. 도치법에는 “보고 싶어요, 그녀가……”, “꽃이 지네, 한 잎, 한 잎” 에서처럼 문장 성분을 바꿔 놓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립구나, 헤어지고 나니……” 에서처럼 절 내지는 문장을 바꿔 놓는 경우도 있다.

  • 도쿄신오쿠보한인촌 / 東京新大久保韓人村 [지리/인문지리]

    도쿄(東京)도 신주쿠(新宿)구에 위치한 한국식의 음식점, 주점, 패션 가게, 잡화점 등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 행정 구역으로 말하자면 도쿄(東京)도 신주쿠(新宿)구의 오쿠보(大久保) 1~2정목(丁目) 및 햐쿠닌초(百人町) 1~2정목을 중심으로 한국식의 음식점, 술집,

  • 도쿄의정서 / 도쿄의정서 [역사/근대사]

    1898년 4월 25일 도쿄에서 러시아와 일본이 체결한 한국문제에 관한 러일의정서. 1898년 4월 8일 일본 외무대신 니시 도쿠지로는 러시아정부에 협상 초안에 관한 일본정부의 입장을 제시, 양국은 한국의 주권과 독립을 인정하며 국내문제 간섭을 자제하고 러시아와 일본의

  • 도토리묵 [생활/식생활]

    도토리녹말을 물에 풀어 끓인 다음 굳힌 음식. 우리 민족은 석기시대부터 도토리를 식용하여 왔다. 그것은 이 시대의 유적지인 서울 강동구 암사동, 경기도 하남시 미사동, 황해도 봉산군 지탑리 등에서 모두 야생도토리가 나오고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다. 일찍부터 식용되어온

  • 도통사 / 都統使 [정치·법제/국방]

    고려 후기 출정군의 최고사령관. 1360년(공민왕 9) 왜구가 대규모로 침입하자 좌정승 유탁을 경기병마도통사로 임명하여 동강 및 서강의 병마사들을 지휘토록 한 것이 최초의 출현이다. 지휘체계의 제도 정비는 1369년 북원과의 외교를 단절하고 그에 대한 대비책으로 이인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