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도원 / 道院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 전도기구의 총칭. 의결기구인 의회, 행정기구인 교사와 더불어 3대 기구 중 하나이다. 대종교 규범 제4장에 의하면 삼일원과 그 밑에 수도원, 선도원, 자선원 등이 이에 속하여 있다. 도원의 궁극적인 목표는 <삼일신고>에 담긴 ‘한얼말씀’을 널리 펴서 모든 사람으

  • 도원서원 / 道源書院 [교육/교육]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연월리에 있는 서원. 1670년(현종 11) 지방유림의 공의로 최산두(崔山斗)·정구(鄭逑)·안방준(安邦俊)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1676년(현종 5)에 임억령(林億齡)을 추가배양하였으며, 1687년(숙종

  • 도원수 / 都元帥 [정치·법제/국방]

    고려·조선시대 전시에 군대를 통솔하던 임시관직. 고려 때는 1361년 안우가 개천(价川)·영변(寧邊)·박천(博川) 등지에서 홍건적을 무찌르고 도원수로 임명되었다. 조선시대는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김명원을 팔도도원수로 삼아 순안(順安)에 주둔하면서

  • 도은선생집 / 陶隱先生集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의 학자 이숭인(李崇仁)의 시문집. 보물 제1465호. 『고려명현집』(영인본)의 내용을 보면, 권1에는 사(辭) 1편과 오언·칠언고시 30제(題)로 모두 31제가 있고, 권2에는 오언·칠언율시로 154제, 권3에는 절구 152제로 시만 모두 336제이고 사가

  • 도은일고 / 道隱逸稿 [종교·철학/유학]

    도은 황도연의 시문집. 목판본, 서: 김주덕(1964), 2권 1책(1권부록1권 合1책). 저자의 손자 세명이 시문과 잡저, 만사와 행장, 묘갈 및 제영 등을 엮어 상하 2권으로 편집하고 여러 차례 교정을 거쳐 1966년에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권수에는 김주덕의 서문

  • 도은집 / 陶隱集 [종교·철학/유학]

    도은 권호신의 문집. 목활자본. 발: 장건덕 장두연. 단책. 1921. 권두에는 권상익이 쓴 서문과 권행으로부터 35세손에 이르기까지의 세계도가 수록되어 있다. 권1에는 차운한 시의 원운을 비롯하여 3편의 시와 4편의 만사, 권2는 부록으로 먼저 단곡 곽진‧장암 김창조

  • 도응유 / 都應兪 [종교·철학/유학]

    1574∼1639. 조선 중기의 문신·의병장 아버지는 원량이다. 정구의 문인이다. 선조대에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최영경을 구호하고 오현의 문묘종사를 청하는 상소를 올렸다. 1611년(광해군 3) 정인홍이 이언적·이황을 배척하자 그 잘못을 반박하였고, 박이립 등이 정구를

  • 도이장가 / 悼二將歌 [문학/고전시가]

    1120년(예종 15) 예종이 지은 향찰표기(鄕札表記)의 가요. 1120년(예종 15) 예종이 지은 향찰표기(鄕札表記)의 가요. 신숭겸(申崇謙)의 행적을 기록한 문헌 『평산신씨장절공유사 平山申氏壯節公遺事』에 그 제작동기에 관한 소상한 기록과 함께 작품이 전한다. 창작경

  • 도인법 / 導引法 [예술·체육/체육]

    도가에서 무병장수를 하기 위하여 행하는 신체운동과 호흡법으로 구성된 건강법. 음강(陰康)에 의하여 창안되었으며 손과 발을 움직여 기(氣)와 혈(血)을 신체 각 부위에 골고루 통하게 하는 방법으로, 도인술(導引術)이라고도 한다. 도인법은 전신의 굴신(屈伸)과 지압(指壓)

  • 도자 / 刀子 [생활/의생활]

    휴대용 칼. 주머니칼이라고도 한다. 30㎝ 미만의 작은 칼로 매우 예리하게 만들어 호신용으로 사용하였다. 『한원(翰苑)』 고구려조에 “도려(刀礪 : 칼과 숫돌)를 허리에 차서 등위를 나타내었다.”는 기록이 보이는데, 이는 상고시대 허리에 여러가지 필수품을 차고 다니던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