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도시기후 / 都市氣候 [지리/자연지리]

    도시의 발달에 의해 주변 지역보다 기온이 높고 습도는 낮으며 풍속이 약한 특징을 보이는 도시 특유의 기후. 한국에서는 도시화 현상이 급격히 진행되면서 도시기후 특성이 인식되었다. 1970년대 초부터 도시기후에 관한 관심이 일어나기 시작하였으며 도시기후에 관한 연구는 1

  • 도시빈민 / 都市貧民 [사회/사회구조]

    저소득 등에 의해 빈곤한 상태에 있는 도시 거주민. 도시빈민은 도시 지역 거주 빈민이라 할 수 있기에 도시화 현상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한국에서 근대적 의미의 도시화 현상은 일제강점기 시작되었고, 그에 따라 도시 빈민층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근대 이후의 도시화는 주로

  • 도시산업선교회 / 都市産業宣敎會 [사회/사회구조]

    1950년대 이후 한국 산업화 과정에서 발생한 노동 문제, 도시빈민 문제를 해결하고, 노동자의 인권을 위해 활동한 기독교 단체. 개신교의 산업선교 단체를 총칭하여 도시산업선교회라고 한다. 산업선교회는 1970년대 도시화와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된 도시 빈민과 직장인, 노

  • 도시재개발 / 都市再開發 [지리/인문지리]

    도시가 성장하고 변화함에 따라 새로운 도시공간에 대한 수요가 발생되어 나타나는 사업. 1970년대 후반 이후 탈공업화가 진행되고, 심각한 경제 쇠퇴에 직면한 도시에서는 세계도시화 전략이 경제개발 전략과 결합하여 네트워크상의 결절 기능을 높이기 위해서 대규모의 도시 재구

  • 도시축제 / 都市祝祭 [지리/인문지리]

    특정 지역의 공동체에 의해 수행되는 이벤트로써 그 공동체와 지역의 특성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문화현상. 산업혁명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된 도시에서도 전통의 축제가 계승되고 새로운 축제가 탄생하여 도시 문화를 다채롭게 재구성하고 있다. 도시란 인구와 자본이 집중되어

  • 도시화 / 都市化 [지리/인문지리]

    인구의 도시 집중과 이에 따른 지역적·사회적 변화 양상을 포함해 도시가 되는 과정을 가리키는 지리학용어. 도시화의 전개과정은 경제적, 인구적, 정책적, 문화적, 기술적, 환경적, 그리고 사회적인 일련의 상호관련적 변화에 의해 도시화가 전개되고, 이는 또한 지형이나 천연

  • 도신수 / 都愼修 [종교·철학/유학]

    1598(선조 31)∼1651(효종 2). 조선 후기의 문신. 도흠조 증손, 할아버지는 도원결, 아버지는 도여유, 어머니는 이우겸의 딸이다. 1627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호조정랑, 함흥판관, 울산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 도안색 / 都案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별기병의 보포를 관장하였던 병조 소속의 관서. 국초에는 경기병이 있었는데 호·보 합쳐 4,000인이었으나 모두 수포군으로, 이들로부터 포 2필을 거두어 경중 여러 곳의 사환을 고용하는 데 사용하였다. 1738년(영조 14) 경기병제도를 폐지하고 지방에 남아

  • 도염서 / 都染署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궁중에서 사용하는 염료 제조와 염색을 맡아보던 관청. 고려 문종 때 직제상 확립을 보았다. 관원은 영 1인, 승 2인, 이속으로 사 4인, 기관 2인을 두었다. 1308년(충렬왕 34) 충선왕이 관제개혁을 하면서 잡직서와 병합하여 명칭을 직염국으로 하고

  • 도염원 / 都鹽院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소금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던 기관. 문종 때 병과권무의 녹사 2인, 기사 2인을 두었다. 그 뒤 1309년(충선왕 1) 각염법의 시행으로 민부에 병합되었다. 고려의 도염원은 하나의 독립된 기관이었다. 고려의 도염원은 전매와는 관계없는 기관이었다. 충선왕대 이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