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도순찰사 / 都巡察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재상으로서 왕명을 받들어 외방에 나간 사신. 조선시대는 도체찰사·도순찰사의 구분이 있어 정1품 재상은 도체찰사, 종1품 재상은 체찰사, 정2품 재상은 도순찰사, 종2품 재상은 순찰사로 구분하기도 하였으나, 세조 때 이 구분을 없애어 도순찰사·순찰사로 일

  • 도승 / 渡丞 [경제·산업/교통]

    조선시대 한강변에 설치한 한성과 지방을 연결하는 진·도의 관리책임자. 국초의 진도별감을 1415년(태종 15) 종9품의 도승으로 개정한 데서 비롯되었다. 조선 후기 별장이라 하여 병조에서 관할하였다. 조선 초기는 이조에서 양반 자제들로 임명, 국왕의 왕릉참배로 인하여

  • 도승선 / 都承宣 [역사/근대사]

    조선 말기 승선원의 최고 관직. 1894년 갑오개혁으로 관제가 개편되면서 궁중과 부중을 구분하여 의정부와 궁내부를 두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승정원은 승선원으로 개혁되었는데, 도승선은 이의 최고관직이다. 정원은 1인이었으며, 왕명의 출납과 기사의 기주를 관장하였다. 약

  • 도승지 / 都承旨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시대 왕명을 출납하던 승정원의 정3품 관직. 정원은 1인이다. 도승지는 왕의 측근에서 시종하며 인재를 가려 관리로 선발하는 일에 깊숙이 관여했기 때문에 기능이 왕권과 직결되었다. 따라서 왕권이 강력한 시기나 국왕의 신임을 받을 때에는 의정부·육조 대신에 필적

  • 도시 / 都市 [사회/촌락]

    도시는 사회·경제·정치 활동의 중심이 되는 곳으로서, 항상 수천·수만 명 이상의 인구가 집단거주하여 가옥이 밀집되어 있고 교통로가 집중되어 있는 지역. 본래 도시라는 말에는 도읍(都邑), 곧 정치 또는 행정의 중심지라는 뜻과 시장(市場), 곧 경제의 중심지라는 뜻이 내

  • 도시 / 都試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무사 선발을 위한 특별시험. 중앙에서는 병조와 훈련원의 당상관이 군사와 동반·서반의 종3품 이하관 또는 한량을, 지방에서는 각 도의 관찰사와 병마절도사가 중앙의 예에 의하되, 그 도의 수령·우후·만호 및 그들의 자제를 제외한 사람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 도시개발 / 都市開發 [지리/인문지리]

    도시변화의 수요에 대응하여 도시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일련의 의도적인 개발행위. 도시개발은 급속도로 변화해가며 개발과 환경보전, 기능과 삶의 질 사이에서 계속적인 진보를 거듭하고 있으며, 최근 지속 가능한 개발이 대두되면서 단순히 한정된 도시 분야를 넘어 사회 문화 경제

  • 도시경관 / 都市景觀 [지리/인문지리]

    인간들이 도시공간 상에 만들어 놓은 독특한 문화적·기술적 경관. 경관은 자연과 인간에 의해 형성되어 독특한 가시적 특성을 보이는 일정한 지리적 범위와 그 위의 물리적 구조물을 일컫는다. 지리학에서는 한 눈에 들어오는 지역 전체의 모습, 즉 지표를 다채롭게 구성하는 문화

  • 도시공원 / 都市公圓 [지리/인문지리]

    도시 자연경관의 보호와 시민의 건강·휴양 및 정서생활의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조성·관리하는 공원. 도시공원은 쾌적한 도시환경을 형성하여 건전하고 문화적인 도시생활의 확보와 공공의 복리증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시공원은 공원이 위치한 행정구역을 관할하는 시장

  • 도시공학 / 都市工學 [지리/인문지리]

    도시공간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도시문제의 해결과 쾌적하고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도시의 계획·관리·개발·정책·기술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우리나라의 최근 도시개발 동향은 새롭게 도시를 만들거나 기존도시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