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도성 / 都城 [예술·체육/건축]

    왕이 평상시 거주하는 궁전과 관부 및 취락을 둘러싼 성. 도성은 왕이 사는 궁과 종묘, 각종의 관부가 중심이 되고 주변에 신분제사회의 계층에 따른 주거가 있었던 것이 보통이다. 조선왕조의 도성도 근본적으로 왕궁이 북편에서 남향하며, 얼마간의 직선대로가 十자형을 이루기는

  • 도성대지도 / 都城大地圖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한성부의 도성 안과 숭례문·돈의문 밖을 상세하게 그린 지도. 현존하는 조선시대 서울지도 중 가장 큰 지도다. 서울의 영역 중 기능과 인구가 밀집된 도성 안과 숭례문·돈의문 밖을 자세하게 그렸으며, 그 밖의 지역은 상대적으로 소략하게 묘사하였다. 서울역사박물관에

  • 도성도 / 都城圖 [지리/인문지리]

    1788년경 한양 도성 일대를 산수화풍으로 그린 지도. 고지도. 단독으로 그려진 채색필사본으로 크기는 세로 67㎝, 가로 92㎝이다. 「도성도」는 조선시대 수도 한양의 군사·경제상의 인문현상뿐만 아니라 풍수지리를 바탕으로 조성된 도성의 지형적 아름다움을 한 눈에 보여준

  • 도성축조도감 / 都城築造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건국 직후 도성을 쌓기 위하여 설치하였던 임시관청. 1395년(태조 4) 9월 경복궁과 종묘·사직의 공사가 마무리되자, 도성축조령과 함께 도성축조도감이 설치되었다. 관원으로 판사·부판사·사·부사·판관·녹사 등이 있었으며, 판삼사사(判三司事) 정도전이 성터를 정하

  • 도솔가 / 兜率歌 [문학/고전시가]

    신라 유리왕 때 지은 작자 미상의 가악. 신라 유리왕 때 지은 작자 미상의 가악. 가사는 전하지 않으나, 『삼국사기』 신라본기 유리이사금 5년조와 『삼국유사』 노례왕조에 작품명과 짧은 설명이 전한다. 『삼국사기』에는 “이 해에 민속이 환강하여 「도솔가」를 처음으로 지으

  • 도솔가 / 兜率歌 [문학/고전시가]

    신라 경덕왕 19년(760)에 월명사(月明師)가 지은 향가. 『삼국유사』 권5 월명사 도솔가조에 전한다. 760년 4월 초하룻날 두 해가 함께 나타나서 10여일간 없어지지 않자, 왕이 일관(日官)의 청으로 청양루(靑陽樓)에 행차하였다. 왕이 청양루에서 연승(緣僧)인 월

  • 도솔봉 / 兜率峯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과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에 걸쳐 있는 산. 도솔봉의 높이는 1,314.2m이고, 소백산국립공원 구역의 남쪽에 속해 있다. 소백산맥에 속한 소백산ㆍ문수봉ㆍ속리산 등과 더불어 험준한 산지를 형성하여 첩첩산중을 이루고 있다. 도솔봉의 산행은 죽령, 전

  • 도숙법 / 到宿法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관리들의 천전·승진의 인사기준이 되는 근무일수 산출 법제. 1년단위 차년법, 달을 기준으로 하는 개월법, 날짜를 기준으로 하는 도숙법 등이 있었다. 고려시대는 주로 차년법이 시행되었고, 공민왕 때 처음으로 도숙법이 같이 사용, 공양왕 때 개월법이 첨가되었다.

  • 도순문사 / 都巡問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의 외관직. 원래 군사관계의 임무를 띠고 재추로서 임명되어 지방에 파견되던 임시관직이었으나, 양계에 있어서는 공민왕 후년까지 그 지방장관의 임무를 맡고 있던 존무사(存撫使)의 민사적 업무까지 흡수하여 군사·민사를 모두 관장하는 지방장관이 되었다. 서북면의 도순

  • 도순변사 / 都巡邊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군무를 총괄하기 위하여 중앙에서 파견하던 국왕의 특사.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신립이 삼도도순변사에 임명되어 충주에서 왜군을 막다가 전사한 것 이외는 도순변사에 임명하는 별다른 기록이 없어 그 구체적인 직무를 알 수 없다.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