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 이태연 / 李泰淵 [종교·철학/유학]

    1615(광해군 7)∼1669(현종 10). 조선 중기의 문신. 게 증손, 할아버지는 도, 아버지는 덕사, 어머니는 박정로의 딸이다. 1642년(인조 20) 진사로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정자·검열을 거쳐 이듬해 대교가 되고, 1646년 설서·정언·지평 등을 역임하

  • 이태좌 / 李台佐 [종교·철학/유학]

    1660(현종 1)∼1739(영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 항복 현손, 정남 증손, 할아버지는 시술, 아버지는 세필, 어머니는 박세모의 딸이다. 영의정 광좌 재종형이다. 1699년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검열에 올랐다. 그후 이조정랑, 강원도관찰사, 형조판

  • 이태중 / 李台重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4∼1756). 신임사화 때 화를 입은 노론 4대신의 신원을 주장하다가 탄핵받았다. 1740년에 지평이 되어 좌의정 유봉휘, 영의정 조태구를 파직시킬 것을 주청하다가 갑산에 유배, 풀려나와 부교리·황해도관찰사·평안도관찰사를 거쳐 예조참판·부제학

  • 이태환 / 李台煥 [종교·철학/유학]

    1697년(숙종 23)∼1774년(영조 50).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부친은 이은이다. 1738년(영조 14)에 서원철폐령이 있자 임사자로 추대되었는데, 의리로써 논쟁해야 함을 주장하며 받아들이지 않았다. 높은 학문과 덕망으로 인해 안동부사에게 초빙되어 안동훈장과

  • 이택 / 李澤 [종교·철학/유학]

    1651(효종 2)∼1719(숙종 45).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진백이다. 1676년(숙종 2) 무과에 급제, 선전관을 거쳐 고산진첨절제사로 나갔다. 그 뒤 남구만·이상진 등과 교유하였는데, 이들의 추천으로 도총부경력이 되었다. 선전관, 훈련원정, 전라좌도수군절

  • 이평 / 李枰 [종교·철학/유학]

    ?∼? 조선 전기의 문신. 계을 증손, 할아버지는 신, 아버지는 구관, 희순의 아버지이다. 일찍 문음으로 관직에 진출하였다. 충청도병마절도사, 병조참지, 강릉대도호부사, 대사간 등을 역힘하였다.

  • 이하곤 / 李夏坤 [정치·법제/법제·행정]

    1677(숙종 3)∼1724(영조 즉위년). 조선 후기의 문인화가·평론가. 본관은 경주(慶州). 좌의정 경억(慶億)의 손자이며, 당시 문형(文衡)이었던 인엽(寅燁)의 맏아들이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춘경산수도, 산수도, 두타초 등이 있다.

  • 이하조 / 李賀朝 [종교·철학/유학]

    1664(현종 5)∼1700(숙종 26).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단상, 어머니는 이행원의 딸이다. 1682년(숙종 8)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으나, 대과를 단념하고 경사를 탐독, 송시열의 문인이 되어서 성리학에 몰두하였다. 사복시주부, 공조좌랑, 부평현감

  • 이하진 / 李夏鎭 [종교·철학/유학]

    1628(인조 6)∼1682(숙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우인의 증손, 할아버지는 상의, 아버지는 지안, 어머니는 이석령의 딸이다. 실학자 이익의 아버지이다. 1666년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 이듬해 가주서·사옹원직장·전적, 예조좌랑·병조좌랑, 도승지, 대사헌 등

  • 이학규 / 李學逵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1770∼1835). 아버지는 이응훈, 어머니는 이용휴의 딸이다. 정조의 인정을 받았으나 신유사옥에 연루되어 유배된 뒤 문필에 전념하였다. 실학적 사고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신위 및 정약용과 시문을 통해 교유하였다. 저서로《낙하생전집》3권이 전한다.

페이지 / 102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