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도산서절요 / 陶山書節要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학자 이황이 학자나 문인들과 시사·경학에 관해 논의한 서신을 모아 엮은 유학서. 본서는 퇴계(退溪)이황(李滉: 1501∼1570)이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를 만들어 주자의 학문세계를 이해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이황의 핵심사상을 그의 서신을 통해 파악하
도산육곡 / 陶山六曲 [문학/고전시가]
李滉(1501∼1570)이 지은 연시조 ‘陶山六曲’의 친필 목판 인쇄본. 퇴계 이황이 지은 12수의 연시조(聯詩調)를 「도산십이곡」이라 하는데, 이황은 이별(李鼈)의 육가(六歌)를 모방하여, 「육곡」 하나에서는 ‘지(志)’를 말하고, 또 하나에서는 ‘학(學)’을 말하였
도산족계좌목 / 道山族稧座目 [사회/가족]
조선후기 대전에 세거한 충주박씨의 족보.충주박씨족계. 17세기에 작성된 대전 세거 충주박씨가의 족계문서(族契文書)로, 2012년 대전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7호로 지정되었다. 충주박씨 대전 입향조 박광리(朴光理)의 첫째 아들 박진(朴蓁, 1366~1422)의 7·8·9·
도산지언 / 陶山至言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박재형이 퇴계사상의 요지를 뽑아 1892년에 편찬한 유학서. 사상서. 1892년(고종 29) 진계(進溪) 박재형(朴在馨: 1838∼1900)이 퇴계학문과 연관되고 수용이 절실한 것들의 요지를 뽑아 엮은 책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다.
도상덕 / 都相德 [역사/근대사]
1905년(광무 9) 4월 8일∼미상. 일제 강점기의 사회주의운동가. 본적은 함경남도 함흥(咸興), 거주지는 러시아 포조(浦潮) 신한촌(新韓村)이다. 1929년 조선공산당재조직준비위원회에서 조선공산당재조직에 힘쓰던 중, 1930년 수배령이 내려졌으나 러시아로 돌아가 기
도생서원 / 道生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주진리에 있었던 서원. 1567년(명종 22) 지방유림의 공의로 배삼익(裵三益)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된 뒤 복
도선 / 導善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종학의 정4품 관직. 종친의 교육에 관한 임무를 담당하였다. 1430년(세종 12) 종학이 설치되자 관부 신설에 따른 교관이 필요하였는데 이들을 종학관이라 하였다.그러나 이들 종학관은 독립된 전임관이 되지 못하고 성균관에 따로 사성·직강·주부를 1인씩 더 설
도선 / 道詵 [종교·철학/불교]
827-898. 신라 말의 승려. 15세 월유산 화엄사에서 승려가 되었다. 850년 천도사에서 구족계를 받았다. 전남 광양 백계산 옥룡사에서 후학을 가르쳤다. 72세로 입적하였다. 고려때 인종은 선각구사로 추봉하였다. 도선은 고려 태조의 출생을 예언함으로써 태조 이후
도선사 / 導船士 [사회/사회구조]
도선법에 따라, 항구나 연해를 출입하는 배를 타고 안전하게 이끄는 일을 하는 전문가. 조선시대 『대전회통(大典會通)』 호전(戶典)의 배길잡이 규정에 “연안의 수령(守令)은 매선 2, 3인 도선에 관지한 자를 승무하게 하여… 도중기항 또는 휴박지에서 교대하고 그 사실을
도선설화 [문학/구비문학]
신라 시대의 고승 도선(道詵)에 관한 설화. 「도선설화」는 크게 출생·행적·죽음의 3단계로 정리할 수 있다. 출생 부분에서 태몽을 꾸고 태어났다는 「옥룡사비문」을 제외한 각 편들은 도선의 어머니가 빨래터에 떠내려온, 또는 뜰 안에 열린 오이를 먹고 잉태한 뒤 아이를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