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도림서원 / 道林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대산리에 있었던 서원. 1672년(현종 13) 지방유림의 공의로 정구(鄭逑)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이용(李涌)·박제인(朴齊仁)·이정(李瀞)을 추가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왔다. 186
도림유집 / 道林遺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오이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3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목판본. 1863년(철종 14) 7대손 태규(泰圭)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기정진(奇正鎭)이 1860년에 쓴 서문이 있고, 권말에 1860년 태규가 쓴 추지(追識)와
도립공원 / 道立公園 [지리/인문지리]
자연생태계나 경관을 보호하고 이용하기 위하여 광역자치단체들이 지정한 공원. 「자연공원법」 제4조 및 제4조의 3에 따라 지정된 공원을 말하며, 특별시장·광역시장·특별자치시장·도지사 또는 특별자치도지사(이하 시·도지사)가 지정하고 관리하는 자연공원이다. 도립공원의 지정을
도만호 / 都萬戶 [정치·법제/국방]
고려 후기 몽고의 영향을 받아 설치되었던 만호부의 관직. 원나라에서는 정3품의 외관직으로서 하남회북몽고군도만호부에만 두었다. 도만호는 1,300년(충렬왕 26) 이후에 설치된 순군만호부의 직제에서 확인된다. 그러나 만호보다 상위직임에도 불구하고 임명사례를 찾아볼 수
도매업 / 都賣業 [경제·산업/산업]
재판매용·산업용·업무용 등으로 구입하려는 재판매업자나 구매자에게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유통업의 한 형태. 일반적으로는 소매(小賣)를 제외한 재판매·구입활동을 가리킨다. 이러한 도매업의 성격으로부터 도매업은 생산업과 소매업을 연결하면서 양자에 대하여 수급조정기능,
도목장 / 都目狀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지방에 거주하는 공노비의 총괄장부. 공노비는 사노비와 달리 국가에서는 3년마다 이들에 대한 호적을 정리하여 속안을 작성, 다시 20년마다 정안을 마련하여 의정부·형조·장례원·사섬시·본도·본읍에 비치하고, 수령·관찰사 등 지방관에게 이들에 대한 관리를 책임지도
도목정사 / 都目政事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 시대 매년 두 번 혹은 네 번 이조·병조에서 행하는 인사행정. 도목 또는 도목정이라고 줄여서 일컫기도 하였으며, 1년에 한 번 행하는 것은 단도목(單都目), 두번 행하는 것을 양도목(兩都目), 네번 행하는 것을 사도목(四都目)이라 하였다.
도무 / 都務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동반 정5품의 토관직. 그 관계는 통의랑(通義郎)이다. 영흥·영변·평양·개성에 각각 1인씩 두었다. 도무사(都務司)의 장으로 1407년(태종 7) 이후의 도무사의 도부(都府)가 변경되어 1466년(세조 12) ≪경국대전≫에 법제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도무사 / 都務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평안도·함경도 등 특수지역에 설치한 토관의 최고 관서. 1407년(태종 7) 이후의 도부사가 ≪경국대전≫에는 도무사로 고쳐진 것이다. 영흥·영변·경성·평양에 두었는데, 영흥부에는 도무(정5품) 1인, 감부(종6품) 1인, 관사(정8품) 1인, 평양·영변·개성
도문 / 圖們 [지리/인문지리]
중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중동부에 위치한 조선족 집거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의 현급 도시인 도문은 두만강 유역의 교통·경제활동의 요지이다. 지리적으로 북한·중국 양국 변경을 따라 흐르는 두만강 가에 자리 잡고 있다. 동쪽으로는 훈춘, 서쪽으로는 연길과 용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