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 : 조선 총 10,287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시대 : 조선
이진 / 李軫 [종교·철학/유학]
1536(중종 31)∼1610(광해군 2). 조선 중기의 문신. 일찍이 이황의 문인이 되어 유성룡과 더불어 수학하였다. 1593년(선조 26) 임진왜란 당시 좌랑으로서 민여경과 함께 의주에서 경성으로 양곡을 선박으로 수송하는 임무를 맡았다.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나
이진만 / 李鎭萬 [종교·철학/유학]
1675년(숙종 1)∼1752년(영조 28).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 이기정의 4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으로는 이진화·이진방·이진영이 있다. 1702년(숙종 28) 식년시 진사 3등 53위로 합격하였으나 과거 공부에는 뜻이 없어 명승지를 찾아다녔다. 교유한
이진망 / 李眞望 [종교·철학/유학]
1672(현종 13)∼1737(영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경석 증손, 할아버지는 철영, 아버지는 우성, 어머니는 정이화의 딸이다. 1711년(숙종 37)에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지평·정언을 거쳐 1725년(영조 1) 대사성으로 소론인 이광좌의 신원을 상소하였
이진백 / 李震白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서암유고』를 저술한 문인.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의 7대손으로, 아버지는 호조참판에 증직된 이정방(李定邦)이며, 어머니는 부사 조위(趙撝)의 딸이다. 1657년(효종 8) 사마시에 합격하고, 7년 뒤인 1664년(현종 5) 순릉참봉(順陵參奉)을 첫
이진사전 / 李進士傳 [문학/고전산문]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1권 1책. 한글필사본·활자본. 선비와 기생의 연애 및 애정생활에 따르는 고난을 다룬 작품이다. 이 작품은 주인공이 본의 아니게 첩을 두게 되었다는 것과 첩과의 애정관계를 지속하기 위하여 수많은 고난을 겪었다는 것을 사건의 근간으로 한다.
이진상 / 李震相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유학자(1818∼1886). 청나라에 대해 사대의 예를 폐하자는 상소 및 서원철폐령 반대운동 등 정치에 관한 활동을 펼쳤으나 뜻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학문적으로는 주자와 이황의 주리론을 발전시켰으며《이학종요》외에 많은 저서가 있다.
이진유 / 李眞儒 [종교·철학/유학]
1669(현종 10)∼1730(영조 6). 조선 후기의 문신. 경직 증손, 할아버지는 정영, 아버지는 대성, 어머니는 홍만용의 딸이다. 만성에게 입양되었다. 1707년(숙종 33)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그 해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조참의, 부제학,
이진택 / 李鎭宅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38∼1805). 1780년(정조 4)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부정자를 거쳐 성균전적·예조정랑·사헌부감찰·병조좌랑·사헌부지평·장령 등을 역임하였다. 1793년 대간으로 있을 때 사노비혁파를 주장한 상소를 올려 사노혁파에 결정적 계기
이진휴 / 李震休 [종교·철학/유학]
1657(효종 8)∼1710(숙종 36). 조선 후기의 문신. 지정 증손, 할아버지는 숭진, 아버지는 영, 어머니는 정만화의 딸이다. 1682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1686년에는 전적으로서 중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동지의금부사, 안동부사, 예조참판,
이집두 / 李集斗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관(1744∼1820). 1774년(영조 50)에 진사가 되고, 이듬해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한림에 들어갔다. 강릉현감이 되었을 때는 네 가지 읍폐를 들고 그 시정을 건의하였다. 이어 대사간·대사헌과 외직으로 안동부사, 함경도관찰사를 지냈다.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