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도류 / 道流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소격서에 소속된 관직. 도교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였다. 정원은 15원이다. 잡직으로 4품에서 그만 두며, 근무성적이 좋아 계속 근무하는 자를 위하여 서반 체아직 셋이 배당되었다. 둔갑술을 하는 둔갑도류 8원도 함께 소격서에 소속되었다.

  • 도리강관원놀이 [문학/구비문학]

    동해안 별신굿 중 열번째 거리인 천왕굿에 이어서 연행되는 무당굿놀이·무극(巫劇). 이 놀이는 여자무당은 참여하지 않고 남자무당에 의하여 연행되는데, 사또역을 맡는 무당, 고지기역·기생역을 맡는 무당, 도리강관·이방·황소·도사령·수노·기생오라비역을 맡는 무당 등 세 사람

  • 도리고 / 道里攷 [지리/인문지리]

    조선시대 서울을 중심으로 뻗어나간 본선도로와 지선도로의 이수(里數)를 기록한 지리서. 1책. 사본. 조선시대 서울을 중심으로 각 방향으로 뻗어나간 본선도로(本線道路) 및 중간에서 갈라진 지선도로(支線道路)의 이수(里數)를 적은 책이다. 내용은 제1이 서북방면으로 서울

  • 도리깨 [경제·산업/산업]

    콩·보리 등 곡식을 두들겨서 알갱이를 떨어내는 데 쓰이는 연장. 『농사직설(農事直說)』의 ‘고로(建吉: 향명은 都里鞭)’, 『과농소초(課農小抄)』와 『월여농가(月餘農歌)』의 ‘연가(連暇)’,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의 ‘도리(邏)’, 그리고 『농정촬요(農政撮要)』의

  • 도리도표 / 道里圖標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순조 연간에 제작된 8도전도의 도리도표첩. 채색목판본. 크기는 가로 15㎝, 세로 26.5㎝이며, 6절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국도(國道)의 경로와 거리표, 각 도별 이정표가 포함되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첫머리에 8도전도가 있으며, 축척으로 백리척(百

  • 도리사사적 / 桃李寺事蹟 [종교·철학/불교]

    조선후기 승려 영희가 구미 도리사와 부속암자의 내력을 수록하여 1639년에 간행한 사적기. 1권 1책. 목판본. 책의 첫머리에는 아도의 비문을 기록하고 있다. 아도가 어머니 고도령(高道寧)의 가르침에 따라 출가한 뒤 소지왕 때 신라로 와서 불교를 홍포하였다는 것과, 그

  • 도리사세존사리탑금동사리기 / 桃李寺世尊舍利塔金銅舍利器 [예술·체육/공예]

    경상북도 구미시 도리사(桃李寺)의 ‘세존사리탑(世尊舍利塔)’이란 음각 명문이 새겨진 조선시대 석종형부도(石鐘形浮屠)의 하단부 사리공(舍利孔)에서 출토된 통일신라 금동제 사리함. 국보 제 208호. 출토된 이후부터 1999년까지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위탁되어 보관되어 있다

  • 도리총고 / 道里摠攷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제22대 왕 정조가 도로에 관한 모든 정보를 종합하여 1797년에 편찬한 지리서. 『도리총고(道里摠攷)』는 정조가 육로와 해로를 불문하고 도로에 관한 모든 정보를 종합 정리한 지리서이다. 이 책은 가탐(賈耽)의 『군국지(郡國志)』에 따라 전국 각 군현의 경계

  • 도리화가 [문학/구비문학]

    조선 고종 때 신재효(申在孝)가 지은 단가. 신재효는 진채선을 발굴하고 판소리 명창들을 초대하여 여류 명창으로 교육시킨 뒤, 경복궁 낙성연에 올려 보내어 대원군에게 그 진가를 인정받게 한다. 그는 몇 번이나 상처(喪妻)를 한 뒤인지라 젊은 여제자에게 특별한 애정을 느낀

  • 도림사괘불 / 道林寺掛佛 [예술·체육/회화]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월봉리 도림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괘불탱. 1683년(숙종 9)작. 삼베바탕에 채색. 세로 7.76m, 가로 7.19m. 전라남도유형문화재 제119호. 계오(戒悟)·삼안(三眼)·신균(信均)의 세 화원(畵員) 비구(比丘)가 그렸다. 항마촉지인(降魔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