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도라지 /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 [과학/식물]
초롱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 또는 그 뿌리. 도랒이라 줄여 부르기도 하며, 한자어로는 길경(桔梗)·백약(白藥)·경초(梗草)·고경(苦梗)이라고 한다. 방언으로는 도래(도레)·돌가지라 한다. 학명은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
도랍 / 刀臘 [지리/인문지리]
황해도연백 지역의 옛 지명. 신라 경덕왕 때구택(雊澤)으로 고쳐 해고군(海皐郡)의 영현으로 삼았으며, 고려 초기에 백주(白州)라고 하였다. 1413년(태종 13) 지금의 이름인 배천(白川)으로 고쳐 경기도 관할에서 황해도로 이관되고, 일제강점기 때연백군이 되었으며 배천
도랑선배청정각씨노래 [문학/구비문학]
함경남도 망묵굿에서 구연되는 서사무가. 1926년함경남도 홍원군에서 손진태(孫晉泰)가 채록하여 『조선신가유편(朝鮮神歌遺篇)』에 수록한 것이다. 이 무가는 한 여인의 지극한 정성과 사랑이 하늘을 감동시켰다는 것으로서, 부부 애정의 소중함을 가르쳐 주는 무속신화이다. 이
도랑춤 / 도랑춤 [예술·체육/무용]
제주도 무굿에서 추는 춤. 굿의 진행과정에서 주로 신을 맞이할 때, 잡귀를 몰아내거나 오신(娛神)할 때, 그리고 신을 보낼 때의 의례를 구체화 내지는 강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점(占)을 치거나 사설의 보조수단으로 행하는 수도 있다.제주도의 무속무용을 가리켜 ‘도
도련귤나무 / 道蓮橘─ [과학/식물]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도련동에 있는 재래의 귤나무. 고광류의 집안에는 나무의 나이 약 250년으로 추정되는 재래 귤나무와 당유자나무 2그루가 자라고 있는데 학술적 가치와 노거수로서의 뜻도 평가되어 문화재로 지정, 보호를 받고 있다. 당유자나무는 재래의 귤나무 중에서 열
도령 / 都領 [정치·법제/국방]
고려시대의 관직명. 전투부대의 실질적인 최고지휘관이다. ≪고려사≫에서 도령이 나타나는 곳은 전시의 군사조직인 오군, 별초군, 양계의 주진군, 귀화한 여진인의 수령이다. 이들 가운데 성격이나 활동이 가장 주목되는 것은 양계 주진군의 도령이었다. 양계 도령제의 성립시기의
도령가 / 徒領歌 [문학/고전시가]
신라 진흥왕 때 지어진 작자 미상의 노래. 가사는 전하지 않으나, 제목과 창작연대가 『삼국사기』 잡지(雜志) 제1악조에 수록되어 있으며, 같은 내용이 『증보문헌비고』 권106 악지 17에 옮겨져 있다. 노래의 가사·해설이 전하지 않으므로, 내용은 물론 형식을 전혀 알
도로 / 道路 [경제·산업/교통]
사람과 재화의 공간적 이동을 돕는 교통시설물. 도로는 인류문명 발전의 기초이며 물자의 운송로, 지식과 문화 및 기술 등의 전파로, 군사 이동로로서 인간집단 상호간의 정보교환과 재화의 유통을 촉진시키는 수단이었다. 우리나라의 「도로법」에서는 ‘일반의 교통에 공용되는 도로
도로고 / 道路考 [지리/인문지리]
1770년 문신·학자 신경준이 전국의 육로·수로 교통 및 중국·일본과의 교통로를 기록한 지리서.역사지리서. 4권 2책. 필사본. 신경준은 『군현제 郡縣制』·『강계고 疆界考』·『산수고 山水考』·『수차도설 水車圖說』·『차제책 車制策』 등 많은 저서를 남겼는데, 그 중 『도
도로교통공단 / 道路交通公團 [경제·산업/교통]
도로교통의 안전을 꾀하는 경찰청 산하 준정부기관. 도로교통의 위해방지를 위하여 도로 이용자의 질서의식을 높이는 데 필요한 계몽홍보와 운전자에게 교통안전교육과 기술개발 연구로써 도로교통안전에 이바지하는 데 목적을 두고 1954년 2월 대한교통안전협회로 설립되었다. 급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