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 옥정호 / 玉井湖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임실군과 정읍시에 걸쳐 있는 호수. 섬진강 상류수계에 있는 인공호수이다. 운암호라 불리기도 한다. 총저수용량은 4억 6600만t이며 면적은 16㎢이나 만수위 때는 26.51㎢에 이른다. 1965년 12월 우리나라 최초의 다목적 댐인 섬진강댐이 임실군 강진면 용

  • 옥천계 / 沃川系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충주 부근에서 남서 방향으로 옥천을 지나 전라북도 익산 북쪽 15㎞까지 분포되어 있는 변성퇴적암지대. 1923년 일본인 나카무라에 의해 옥천 누층군의 일부 지역이 연구되면서 처음 옥천계로 명명되었다. 천매암ㆍ함력천매암ㆍ운모편암ㆍ규암ㆍ각섬암ㆍ사암ㆍ점판암 등으로

  • 옹진 소청도 스트로마톨라이트 및 분바위 / 甕津小靑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면 소청도 동남쪽 해안가에 위치한 분바위를 중심으로 주변 일대에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지형이 분포해 있다. 2009년 11월 10일에 천연기념물 제508호로 지정되었다. 지정 면적은 육지부가 21,793㎡, 해역부가 7,893㎡로 총 29,686㎡

  • 옹진반도 / 甕津半島 [지리/자연지리]

    황해남도의 남서부, 대동만과 해주만 사이에 있는 황해에 돌출한 반도. 서쪽에는 대동만(大東灣)을 건너 백령도, 동쪽에는 해주만(海州灣)이 접하고 있다. 행정적으로는 옹진군과 강령군, 태탄군 일부와 벽성군 일부를 차지하며, 크게 강령반도, 마산반도, 읍저반도로 나뉜다.

  • 와갈산 / 臥渴山 [지리/자연지리]

    평안북도 강계군 용림면과 함경남도 장진군 상남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2,262m. 낭림산맥 중 최고봉이다. 와갈산일대는 평균 1,900m 높이의 고위평탄면(高位平坦面)이 발달하여 있으며, 와갈산 기슭의 총전령(葱田嶺)은 동쪽 사면의 양거수점(梁巨水店)과 서쪽의 강계

  • 와사봉 / 臥獅峰 [지리/자연지리]

    현재 양강도 삼지연시 보천면에 있는 산. 높이는 2,149m이다. 백두산에서 남동쪽으로 뻗는 마천령산맥은 함경남북도를 갈라놓은 도계에 있으며, 이것과 같이 백두화산맥이 뻗고 있다. 백두산의 동남쪽에는 백두산의 형성과 같은 시기에 이루어진 많은 화산들이 있고, 이들은 2

  • 완도 / 莞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군외면에 속하는 연륙도. 해남으로부터 남쪽으로 48㎞ 정도 떨어져 있고, 동쪽에 신지도(薪智島)가 있다. 동경 126°45′, 북위 34°19′에 위치하며 면적은 88.57㎢(완도읍과 군외면에 속한 유·무인도서 면적을 제외한 육지부 면적/포함한

  • 왕등재습지 / ─濕地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유평리 지리산에 위치한 산지습지. 지리산 능선 동쪽 끝자락의 해발 960m 고갯마루에 위치해 있다. 길이 120m, 폭 50m 정도의 장타원형 고산습지이다. 1996년 여름에 처음으로 학계에 알려지게 되었는데, 우리나라의 내륙에서 발견된 산지습지

  • 왕피천 / 王避川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영양군 수비면과 울진군 온정면에 걸쳐 있는 금장산(金藏山, 849m)에서 발원하여 울진군을 지나 동해로 흘러드는 하천. 왕피천의 길이는 60.95㎞이고, 유역 면적은 514.001㎢인 지방 1급 하천이다. 수비면 신원리·오기리·발리리 등을 지나면서 장수포천(長

페이지 / 9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