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인물 3,8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인물
  • 김시온 / 金是榲 [종교·철학/유학]

    1598(선조 31)∼1669(현종 10). 조선 중기의 학자. 할아버지는 찰방 김수일, 아버지는 진사 김철, 어머니는 찰방 김종무의 딸이다. 큰아버지인 사성 김극일에게 입양되었다.어려서부터 재행이 경상좌도에 이름났으나, 일찍부터 벼슬에는 뜻을 두지 않고 병자호란 이후

  • 김시용 / 金時容 [역사/근대사]

    1906-1945.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제주도이다. 일본으로 유학을 가서 와세다[早稻田] 대학에 입학하였다. 1928년 재학 중 항일학생단체인 재일조선청년동맹(在日朝鮮靑年同盟)에 가입하였다. 1929년 재일조선청년동맹에서 발행한 《조선청년(朝鮮靑年)》에

  • 김시은 / 金時殷 [역사/근대사]

    1887-1957.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호는 농산(聾山)이며, 본관은 김해(金海)이고, 제주도 신좌면(新左面) 출신이다. 1919년 제주도 ‘조천만세운동’을 주도한 14명 중 한 사람이다. 서울에서 3·1독립만세운동에 가담하여 활동하다 귀향한 조카 김장환(金章煥)

  • 김시점 / 金時漸 [역사/근대사]

    1882-미상.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적은 평안북도 정주(定州) 곽산(郭山)이다. 1911년 일제가 조작한 105인 사건으로 체포되었다가, 1913년 3월 20일 무죄로 출옥한 후 만주(滿洲)로 망명하였다. 1919년 만주 안동현(安東縣)에서 김승만(金承萬)·오

  • 김시진 / 金始振 [종교·철학/유학]

    1618(광해군 10)∼1667(현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좌의정 명원 증손, 할아버지는 수인, 아버지는 남헌, 어머니는 사인 권흔의 딸이다. 1644년(인조 22)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이듬해 검열이 되었다. 문학, 수찬, 부교리, 전라도관찰사, 호조참판

  • 김시창 / 金始昌 [종교·철학/유학]

    1472(성종 3)∼1558(명종 13). 조선 중기의 효자. 할아버지는 사직 효신, 아버지는 의, 어머니는 조승중의 딸이다. 일찍이 김종직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배웠고, 금산에 거주하면서『가례』에 의한 상례를 철저히 준행하는 한편, 효행이 뛰어나 그 이름이 널리 알려졌

  • 김시태 / 金時泰 [종교·철학/유학]

    1682년(숙종 8)~1722년(경종 2). 조선 후기 무신. 김상준 후손, 부친 김성구의 3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은 김시정‧김시승이다. 1714년(숙종 40) 증광시 병과에 급제하였다. 1721년(경종 1) 당시 황해병사로 재직 중, 사헌부에서는 김시태가 권

  • 김시혁 / 金始㷜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76∼1750). 김선여의 증손, 할아버지는 김득원, 아버지는 제용감봉사 김홍주, 어머니는 주서 남궁배의 딸이다. 1708년(숙종 34) 식년 병과 급제 후, 경종 대에 수원부사로 물러났다가 영조 때 정미환국 후 복직되어 판돈녕부사에 이르렀다.

  • 김시형 / 金時馨 [역사/근대사]

    1894-1951.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관은 배천(白川)이고, 본적은 평안북도 용천(龍川)이다. 1919년 3·1 독립운동에 참가한 뒤 만주로 망명하여 대한독립단에 가입하였다. 1920년 11월 임시 정부 연통제 평안북도 독판부 소속으로 활동하면서 동시에 광복

  • 김시화 / 金始鏵 [종교·철학/유학]

    1662년(현종 3)∼1732년(영조 8). 조선 후기의 유생. 아버지는 통덕랑 김정휘, 어머니는 통훈대부 이상언의 딸이다. 종조 이요석에게서 수업하였으며, 우헌 유세명이 그를 보고 재능이 뛰어나니 상경하여 면학하도록 격려하였다. 부친의 명으로 과거에 나가 1702년

페이지 / 38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