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종교·철학 > 유학 3,57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분야 : 종교·철학 > 유학
  • 긍재집 / 兢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정지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2년에 간행한 시문집. 7권 3책. 활자본. 1912년 저자의 아들인 규흥(圭興)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장승택(張升澤)·정만조(鄭萬朝)의 서문과 권말에 아들 규흥의 발문이 있다. 규

  • 긍재집 / 兢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정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2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석판본. 1932년 그의 문도 박민룡(朴敏龍)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서문과 발문이 없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에 시 114수, 권2에 서(書) 41수, 권3에 잡저 8편

  • 긍재편록 / 兢齋編錄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어유구의 소차·박고·일기·만록 등을 수록한 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1872년(정조 6) 아들 석정(錫定)이 시를 제외한 소차(疏箚)·박고(博考)·일기·만록·행장·책문(策文) 등을 수록, 간행하였다. 말미에는 어석정이 쓴 발문이 있다. 권1·2에는

  • 긍파재문집 / 肯播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권한성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6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석인본. 증손 오봉(五鳳)이 1942년에 편집한 것을 1976년 기원(奇元)·기철(奇喆)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회춘(李會春)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유현우(柳賢佑)의 발문이 있다

  • 기건 / 奇虔 [종교·철학/유학]

    ?∼1460(세조 6). 조선 전기의 문신. 고려 때 신돈의 일당인 기현의 후손이다. 학행으로 이름이 높아 세종 때에 포의로 발탁되어 지평에 제수되었다. 이어서 내직으로 옮겨 집의·형조참의·이조참의를 역임하고, 1448년(세종 30) 전라도관찰사 겸 전주부윤에 부임,

  • 기계문집 / 奇溪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개항기까지 생존한 학자 김노선의 시·만사·서(書)·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8권 4책. 석인본. 간기가 없어 간행 연대는 자세하지 않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4에 시 215수, 만사 61수, 소 1편, 서(書) 85편, 권5∼7에 서(序) 4

  • 기곡잡기 / 基谷雜記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한경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6년에 간행한 시문집. 1836년(헌종 2) 한경리의 외손인 최한기(崔漢綺)가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자서 2편과 권말에 최한기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48수, 만(挽) 11수, 서(書) 6편, 서(序) 5편, 권2

  • 기기재집 / 棄棄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김상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9년에 간행한 시문집. 5권 2책. 목활자본. 1899년에 5대손 재정(在定)과 6대손 술현(述鉉)·유현(有鉉) 등이 유문을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병선(宋秉璿)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재정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 기대승 / 奇大升 [종교·철학/유학]

    1527-1572. 조선시대의 성리학자. 1558년 과거 급제하여 사관이 되었다. 32세에 정지운, 이황과 <태극도설>을 논하고, 이황과 사칠논변을 통하여 사상적 체계를 완성시켰다. 정지운의 <천명도>는 호씨설에서 나왔고, 이황의 사칠론은 <주자어류>에 지나치게 의존

  • 기록초음 / 騎鹿樵吟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신광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5년에 간행한 시집.시문집. 2권 1책. 필사본. 1975년 이가원(李家源)이 편집하고, 신완식(申完植)과 신하식(申夏植)이 간행하였다. 권말에 목만중(睦萬中)의 발문이 있다.권1은 사(詞) 199수, 권2는 시 138수

페이지 / 358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