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도고 헤이하치로 / 東鄕平八郞 [정치·법제/외교]
1847-1934. 일본 해군 장군. 러일전쟁 사령관. 1863년 사쓰에 전쟁에 참가하였다. 1886년 일본에서 생산한 순양함인 야마토함의 함장이 되었다. 1895년 소장으로 진급하였다. 러일전쟁 이후에는 해군군령부장, 군사참의관이 되었고, 1913년에는 원수로 승진하
도고온천 / 道高溫泉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아산시 도고면 기곡리와 선장면 신성리에 있는 온천. 아산시내에서 장항선 국도를 따라 15㎞ 지점에 있다. 열차를 이용할 경우 온양온천역에서 서쪽으로 15㎞ 지점에 위치한다. 수질(水質)은 약알카리천(ph 7.75)·약염천에 속하는 유황천으로 마치 삶은 달걀이
도곡문집 / 陶谷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 박종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6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목활자본. 1906년 11대손 노규(魯奎) 등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중린(李中麟)의 서문과 권말에 노규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
도곡서원 / 道谷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 개평리에 있었던 서원. 1701년(숙종 27) 지방유림의 공의로 조승숙(趙承肅)·정복주(鄭復周)·노숙동(盧叔仝)·노우명(盧友明)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노사예(盧士豫)와 정수민(鄭秀民)을 추가배향하여 선현배
도곡유고 / 陶谷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양원의 시·소·서(書)·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2책. 활자본. 그의 아들 집춘(集春)·집하(集夏)·집생(集生)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68수, 소 8편, 수의(收議) 8편, 권2·3에 기적(紀蹟)
도곡집 / 道谷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송종운(1792∼1825)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1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활자본. 1891년(고종 28) 자형 송기용(宋琦用)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신응조(申應朝)의 서문과 권말에 송기용의 발문이 실려 있다. 규장각 도
도곡집 / 陶谷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의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66년에 간행한 시문집. 32권 16책. 활자본. 1766년(영조 42) 손자 학조(學祚)에 의해 편집되었고, 황해도관찰사 신회(申晦)에 의해 간행되었다. 서문과 발문이 없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도과 / 道科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각 지방에서 왕명에 의하여 특별히 실시된 부정기적인 과거. 세조 때는 평양·온양·강릉·고성 등지에서 별시가 실시된 이래, 개성부·강도·공주·전주 등지에 정시가 많이 실시되었다. 이는 국왕이 지방을 순시하며 민정을 살펴보는 가운데 실시된 것이다. 이를 계승한
도관찰출척사 / 都觀察黜陟使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말과 조선 초 각 도의 외관직. 1388년(우왕 14) 안찰사의 품격을 높이기 위해 도관찰출척사로 이름을 고쳤다. 임기는 1년으로 왕의 교서와 부월을 주어 파견했으며, 모두 대간의 천거를 받아 임명하였다. 이 때 종래의 6도 안렴사제가 교주도와 강릉도가 합해짐으
도교 / 道敎 [종교·철학/도교]
신선사상을 기반으로 자연 발생하여, 거기에 노장사상·유교·불교 그리고 통속적인 여러 신앙 요소들을 받아 들여 형성된 종교. 도교가 종교의 형태로 형성되기 이전에 이미 노자의 ≪도덕경≫과 ≪장자 莊子≫·≪열자 列子≫ 등에 드러나 있는 도가사상은 존재하고 있었다. 동서고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