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덕진포 / 德津浦 [지리/인문지리]
대전광역시 유성 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소비포현(所比浦縣)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적오현(赤烏縣)으로 고쳐 비풍군(比豊郡)의 영현(領縣)으로 삼았다. 940년(태조 23) 덕진현(德津縣)으로 고치고 공주에 소속되었다. 조선시대에도 그대로 덕진으로 하였다
덕천고 / 德泉庫 [경제·산업/경제]
고려 후기 왕실의 재정을 주관하던 기관. 덕천고가 왕실의 재정기관이었음은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의 사망으로 인희전(仁熙殿)에 천수도량을 설치했을 때, 그 비용을 전담한 사실에서도 알 수 있다. 그 밖에 보관 중인 미포를 풀어서 물가를 조절하였고, 빈민을 구제하였다
덕천군 / 德川郡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북부에 있는 군. 동쪽은 영원군, 서쪽은 개천군, 남쪽은 맹산군·순천군, 북쪽은 묘향산맥을 경계로 평안북도 영변군과 각각 접하고 있다. 1954년 10월 북창군(北倉郡) 삼흥리가 분리되어 덕천군에 편입되고, 1963년 12월 덕천군 안동리 일부가 분리되어 청송
덕천군읍지안 / 德川郡邑誌案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덕천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편년 미상의 필사본 『덕천군읍지(德川郡邑誌)』 1책이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요원지서(遼原誌序)·건치연혁(建置沿
덕천굴 / 德泉窟 [지리/자연지리]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덕천리에 있는 용암동굴. 길이 232m. 지층은 신생대 제4기에 분출된 표선리현무암층(表善里玄武岩層)에 속한다. 한국동굴학회의 주관으로 이루어진 한일합동조사에 의하면, 이 동굴은 세계 제일의 동굴시스템인 만장굴시스템의 일부분으로서 매우 중요
덕천분지 / 德川盆地 [지리/자연지리]
평안남도 덕천시 일대에 형성된 분지. 덕천분지는 동쪽의 금성산(金城山, 571m)에서 서쪽의 월봉산(月峰山, 1,093m)까지 동서의 폭이 약 28㎞, 북쪽의 백애산(白崖山, 1,524m)에서 남쪽의 백운산(白雲山, 609m)까지 남북의 길이가 약 23㎞에 달하는 대규
덕천인 / 德川人 [역사/선사시대사]
평양 근처 덕천 승리산 동굴 유적의 제4층에서 발견된 중기 구석기시대의 인류화석. 승리산 동굴은 평양 동북쪽 75㎞ 지점에 있다. 1972년부터 1973년에 걸쳐 북한의 사회과학원 고고학연구소에 의해 발굴이 실시되었다. 이 덕천인은 동물화석을 근거로 중기 홍적세(中期洪
덕천집 / 悳泉集 [생활]
별집류(別集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4책이며, 판종은 석인본(石印本)이다. 규격은 28.3×19.5cm이고, 반곽은 22.3×16.1cm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덕천집(悳泉集)이다. 성기운(成璣運)이 저술하였고, 권수는 8권 4책이다.
덕천향교 / 德川鄕校 [교육/교육]
평안남도 덕천군(현재의 덕천시) 덕천면 읍북리에 있는 향교. 자세한 연대는 미상이나, 조선 초기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당시의 경내건물로는 대성전(大成殿)·명륜당(明倫堂)·동재(東齋)·서재(西齋)·전사청(典祀廳)
덕항산 / 德項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태백시 하사미동과 삼척시 신기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072.9m이다. 태백산맥의 줄기인 해안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북쪽에는 두타산(頭陀山, 1,355m), 서쪽에는 삼봉산(三峰山, 1,232m), 남쪽에는 매봉산(梅峰山, 1,303m), 동쪽에는 깃대봉(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