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덕은유고 / 德隱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박운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4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활자본. 1894년(고종 31) 손자 정양(定陽)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정양의 서문이 있다. 권1·2에 시 44수, 서(書) 5편, 서(序) 2편, 기 3편, 제문 3편,
덕응방 / 德應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궁중의 가마와 말안장을 보관하던 관서. 덕응(德應)은 ‘덩’의 취음(取音)으로 공주·옹주 등이 타는 승교(乘驕)를 말한다. 덩꾼〔德應軍〕은 내전(內殿)의 동가(動駕) 때, 즉 부대부인·공주·옹주·귀인·숙의가 궐내를 출입할 때 그들의 덩을 메었다. 덕응방의 점
덕인참나무 / 德仁─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북도 김책시 덕인리에 있는 참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302호. 참나무는 원평역에서 임명천의 상류방향으로 약 8㎞ 떨어진 덕인리의 길 옆에 있다. 참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둥근돌과 자갈이 많은 모래메흙이며 습기와 거름기는 보통이다. 이 지대의
덕잠서원 / 德岑書院 [교육]
충청남도 예산군 예산읍 향천리에 있었던 서원. 1705년(숙종 31) 지방유림의 공의로 김구(金絿)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714년 ‘德岑(덕잠)’이라고 사액되었으며, 1813년(순조 13) 서원의 원장인 김조순(金祖淳)이 중수하고 그
덕적군도 / 德積群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에 속하는 군도. 2007년 말 현재 덕적면 전체 인구는 1,764명(남 922명, 여 842명)이고 세대수는 911호이다. 전체 면적은 36.02㎢고, 논 1.25㎢, 밭 1.5㎢, 임야 31.83㎢이다. 농업으로는 주로 쌀이 생산되고 이 밖에
덕적도 / 德積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에 있는 섬. 2010년 기준으로 인구는 1,413명(남 756명, 여 657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748세대이다. 취락은 섬의 동남쪽 진리에 집중되어 있다. 이곳에 면사무소가 있으며 섬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 1.
덕적도패총 / 德積島貝塚 [역사/선사시대사]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 덕적도에 있는 조개더미 유적. 1954년 국립박물관에서 실시한 서해도서조사를 통하여 덕적도를 비롯한 소야도(蘇爺島)·승봉도(昇鳳島) 등에서 빗살무늬토기가 나오는 패총의 소재가 알려졌으며, 1967년 서울대학교 고고인류학과를 중심으로 자세한 조사
덕주 / 德州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덕천 지역의 옛 지명. 고려 초에 요원군(遼原郡)이라 하였다가 뒤에 장덕진(長德鎭)으로 바꾸었고, 1001년(목종 4) 덕주로 개칭하여 방어사(防禦使)를 두었다. 이곳은 고려의 국경지대이어서 1000년 덕주성을 쌓고 현종ㆍ문종 때 계속 성을 수리하여 나갔다.
덕지강 / 德池江 [지리/자연지리]
북한의 행정구역상 함경남도 수동구(水洞區)와 평안남도 양덕군과의 경계에 있는 재령산(1,217m)에서 발원하여 금야군 해중리와 강원도 천내군 염전리 사이에서 동해의 송전만으로 유입되는 강. 길이 101.5㎞, 유역면적 1,176.8㎢, 유역의 평균너비 11.6㎞, 하천
덕진 / 德津 [지리/인문지리]
대전광역시 유성 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소비포현(所比浦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 적오현(赤烏縣)으로 고쳐 비풍군(比豊郡)의 영현(領縣)으로 하였다. 고려 초기에 덕진으로 고쳐 공주(公州)에 속하게 하였으며, 조선 초기도 그대로 따랐다가 뒤에 폐현되었다. 지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