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덕우도 / 德牛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완도군 생일면 봉선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139명(남 68명, 여 71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74세대이다. 조선 효종 때 반남박씨(潘南朴氏)가 처음으로 들어와 살기 시작하였다고 하는데, 취락은 서쪽 해안의 선착장에서부터 중앙부의

  • 덕원 / 德源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문천·원산 지역의 옛 지명. 고려 초기에 용주(湧州)라 칭하였고, 995년(성종 14) 방어사(防禦使)를 두었으며, 뒤에 의주(宜州)라 개칭하였다. 1413년(태종 13) 의천(宜川)으로, 1437년(세종 19) 덕원으로 고치고 군(郡)으로 된 뒤, 태조의 4

  • 덕원민란 / 德源民亂 [역사/근대사]

    1892년 함경도 덕원에서 일어난 민란. 봉건체제에 의한 수탈이 점차 가혹해지고, 이에 대한 민중의 저항이 계속되는 가운데 덕원부사 김문제가 공금을 유용하고 이를 민간으로부터 징수한 데서 발단이 되었다. 이에 1892년 봄 전 주서(注書) 엄익조가 그의 종손 엄기태,

  • 덕원부읍지 / 德源府邑誌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덕원부(지금의 원산시)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 1책. 내용 구성은 읍명(邑名)·연혁(沿革)·관직(官職)·관속(官屬)·해우(廨宇)·단묘(壇廟)·관방(關防)·영애(嶺애)·역참(驛站)·봉수(烽燧)·방천(防川)·교량(橋梁)

  • 덕원서원 / 德源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합천군 청덕면 성태리에 있는 서원. 1692년(숙종 18)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차원부(車原頫)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9년(고종 6)에 훼철되었다가

  • 덕원향교 / 德源鄕校 [교육/교육]

    함경남도 문천군(현재의 강원도 원산시) 덕원면에 있는 향교. 자세한 연대는 미상이나 조선 초기에 창건되어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담당하였다. 창건 당시 옛 덕원부의 서쪽에 있다가 뒤에 동쪽으로 이건하였으며, 1942년 덕원부가 문천

  • 덕유산 / 德裕山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무주군·장수군과 경상남도 거창군·함양군에 걸쳐 있는 산. 덕유산 일대는 웅장한 산세와 계곡, 그리고 울창한 식생이 어울려 뛰어난 자연경관을 이루고 있고, 산성·사찰 등 문화 유적이 많아 1975년 2월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공원 면적은 총 219㎢인데,

  • 덕유산국립공원 / 德裕山國立公園 [지리/자연지리]

    전라북도 무주군·장수군, 경상남도 거창군 지역에 걸쳐 있는 국립공원. 덕유산국립공원은 무주 구천동 33비경이 나제통문(羅濟通門)에서부터 북덕유산 턱 아래 백련사까지 장장 70리 길의 계곡에 걸쳐 펼쳐져 있어 최고의 절경지를 이룬다. 특히, 심산유곡의 계류는 전국적인 피

  • 덕유산종합야영장 / 德裕山綜合野營場 [지리/인문지리]

    전라북도 무주군덕유산에 있는 종합야영장. 청소년의 심신수련과 보이스카우트의 국내ㆍ국제 잼버리를 대비하기 위하여 1977년부터 1983년까지 3차에 걸친 개발계획에 의하여 조성되었다. 5개의 야영장, 대집회장ㆍ옥내수련장ㆍ주차장 등 기타 편의 시설이 고루 갖추어져 있으며,

  • 덕은 / 德恩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논산 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덕근지(德近支)였는데, 뒤에 득안(得安)으로 고치고 당나라가 백제를 멸한 뒤에 덕안도독부(德安都督府)를 두었다. 663년(문무왕 3) 김흠순(金欽純) 등이 덕안성을 공격하여 이를 점령하였다. 757년(경덕왕 16) 덕은군(德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