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덕수궁준명당 / 德壽宮浚明堂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덕수궁에 있는 조선 말기의 전각. 정면 6칸, 측면 4칸의 팔작지붕건물. 고종이 러시아공관으로부터 경운궁으로 거처를 옮기기 위하여 많은 건물을 중건하였던 1897년에 새로 지었다. 내전의 하나로 외국사신을 접견하던 곳인데, 현재의 건물은 1904년

  • 덕수궁함녕전 / 德壽宮咸寧殿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덕수궁 안에 있는 조선 말기의 전각. 정면 9칸, 측면 4칸의 팔작지붕건물. 보물 제820호. 1897년에 건축되어, 1904년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같은 해 중건되었다. 1919년 1월 22일 고종이 사망한 곳이기도 하다.

  • 덕수리불미공예 / 德修里─藝 [예술·체육/공예]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덕수리에서 쇠붙이를 녹이고 거푸집에 부어 굳히는 형태의 주물공예.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12호. ‘불미’는 풀무의 제주도 방언이다. 제주도 주물공예의 형태는 그 규모나 방법에 따라 손풀무와 골풀무로 나누어진다.전자는 땅바닥에 장방형으로 골을

  • 덕암만록 / 德巖漫錄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나도규의 시·서(書)·설·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8권 2책. 석인본. 아들 정근(楨瑾), 손자 종우(鍾宇)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고광익(高光益)·고광선(高光善)의 서문과 권말에 홍석희(洪錫熹)의 발문이 있다. 전주대학교 도서관과 변시연가(邊

  • 덕암문집 / 德巖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 이석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1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831년(순조 31) 후손 인준(寅峻)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태좌(柳台佐)의 서문과 권말에 이경유(李敬儒)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첫머리에

  • 덕암집 / 德巖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최봉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2책. 신활자본. 1934년 그의 후손 우봉(祐鳳)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영한(金寗漢)의 서문과 권말에 한서교(韓序敎) 등의 발문 3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 덕양유고 / 德陽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학자 기준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9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1969년 그의 8세손 해근(海根)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고윤주(高允柱)의 서문과 권말에 해근의 발문이 있다. 서문에 이어 그의 문인 백시덕(白時德)이 1750

  • 덕연서원 / 德淵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용정리에 있는 서원.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7호. 1549년(명종 4) 지방유림의 공의로 주세붕(周世鵬)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1666년(현종 7) 중건하였다. 1676년(숙종 2) ‘

  • 덕온공주당의 / 德溫公主唐衣 [생활/의생활]

    조선 순조의 셋째 공주인 덕온(德溫)이 입었던 자적색(紫赤色) 직금당의(織金唐衣). 공주가 혼인한 첫해(1837) 동짓날에 입기 위해 준비한 것이라 한다. 공주의 손녀인 윤백영(尹佰榮)이 석주선(石宙善)에게 기증한 것으로, 1964년 12월 7일 중요민속문화재 제1호로

  • 덕온공주의복 / 德溫公主衣服 [생활/의생활]

    조선 순조의 셋째 공주인 덕온이 입었던 의복. 유물들은 1837년(헌종 3) 공주의 길례(吉禮) 때 착용하였던 원삼(圓衫)을 비롯한 당의(唐衣)·장옷·삼회장저고리 각 1점과 누비삼회장저고리 2점 등 의복 6점으로, 공주의 손녀 윤백영(尹伯榮)으로부터 입수된 것이다. 원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