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작품 > 문학 작품 1,953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작품 > 문학 작품
  • 불굴가 / 不屈歌 [문학/고전시가]

    고려 말기에 변안열(邊安烈)이 지었다고 전하는 단가. 원가(原歌)는 전하지 않고, 한역가(漢譯歌)와 창작경위가 『원주변씨세보(原州邊氏世譜)』 경신보(庚申譜) 권1 잡록부(雜錄附)에 수록되어 있다. 변안열은 1351년에 공민왕을 따라 고려에 와서 귀화한 장수로 무공을 많

  • 불상출현담 / 佛像出現譚 [문학/구비문학]

    불상이 출현하여 신이한 권능을 구현하고 신성을 현시하는 것에 관한 설화. 불상의 출현담은 몇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먼저 존재가 실제로 출현하여 자신의 모습을 현시하고 세속의 사람들에게 추인하도록 하는 유형이다. 「낙산이대성 관음 정취 조신(洛山二大聖觀音正趣調信)」,

  • 불우헌가 / 不憂軒歌 [문학/고전시가]

    1472년(성종 3)정극인(丁克仁)이 지은 단가. 내용은 관리의 세계에서 뜻대로 되는 일이 없었는데, 이러한 은혜와 광영을 입고 보니, 이 영광스러운 모습을 어서 속히 임금에게 보이고 싶다는 것이다. 형식은 재래의 송축가형식을 그대로 답습한 것이다. 그 연원은 고려시대

  • 불우헌곡 / 不憂軒曲 [문학/고전시가]

    1472년(성종 3)정극인(丁克仁)이 지은 경기체가. 정극인의 문집인 『불우헌집』 권2에 전한다. 전 6장으로 되어 있으며 제6장 마지막의 낙구(落句)를 독립된 장으로 본다면 모두 7장이 된다. 제1장에서는 벼슬을 그만두고 자연에 묻혀 거문고와 책과 바둑과 장기를 즐기

  • 붕우춘회곡 / 朋友春懷曲 [문학/고전시가]

    조선 말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규방가사. 즐거운 봄을 맞아 옛 친구를 애절하게 그리워하는 심정으로 갑진년 봄에 지은 것인데, 갑진년은 대체로 1904년인 듯하다. 4음보 1구로 헤아려 총 436구로, 3·4조와 4·4조의 정연한 형식을 가지고 있으며, 붕우유신(朋友有

  • 비가 / 悲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인조∼현종 연간에 이정환(李廷煥)이 지은 시조. 작자의 문집인 『송암유고(松巖遺稿)』에 실려 있다. 제작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작품의 소재인 병자호란의 국치와 이정환의 사망 연대로 보아 1636(인조 14)에서 1673(현종 14) 사이로 추정된다. 병자호란의 국

  • 비형랑주사 / 鼻荊郞呪辭 [문학/고전시가]

    신라 진지왕의 아들 비형랑(鼻荊郞)에 관한 주사(呪辭). 「비형랑주사」는 지금까지 단순히 귀신 이야기 정도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비형랑은 왕의 사령이 낳은 아들로 귀신을 부릴 줄 알 뿐만 아니라 길달 같은 귀신을 잡아 죽이는 영력을 소유한 인물이다. 이러한 점으로

  • 빈대절터설화 / ─說話 [문학/구비문학]

    빈대가 많아서 절이 망하고 절터만 남았다고 하는 설화. 빈대절터 설화는 전국적으로 널리 전승되고 있으며, 이야기가 다양하게 변이되고 전승되는 특징이 있다. 빈대절터의 설화적 요체는 빈대와 중, 기둥과 절터의 상징성에 있다. 흡혈곤충인 빈대 때문에 절이 망했다고 하는 것

  • 빈소선생전 / 嚬笑先生傳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익(李瀷)이 지은 전(傳). 『성호선생문집(星湖先生文集)』 68권에 실려 있다. 「빈소선생전」은 이익의 「동방일사전(東方一士傳)」과 같이 높은 재주와 고상한 뜻을 가진 선비로서 초야에 묻혀 드러나지 않은 이가 많음을 슬퍼하는 내용이다. 이 작품은 비록 짧

  • 빙도자전 / 氷道者傳 [문학/한문학]

    고려 후기에 혜심(慧諶)이 지은 가전체 작품. 1940년 월정사에서 간행한 『진각국사어록 眞覺國師語錄』의 부록에 권상로(權相老)의 수집으로 「죽존자전」과 함께 수록되어 있다. 얼음을 의인화한 작품으로, 얼음의 청정한 기상을 빌려 수선(修禪)하는 사람들에게 부처의 도를

페이지 / 196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