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문헌 총 4,640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문헌
공사견문록 / 公私見聞錄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 정재륜이 궁궐에서 견문한 내용을을 수록한 역사서. 4책. 필사본. 저자가 효종·현종·숙종·경종의 4조에 걸쳐 궁중에 출입하면서 보고 들은 역대의 아름다운 말 및 선행 등을 모은 야사이다.정지현(鄭之賢)의 서(序, 1701)와 정행원(鄭行源)의 발문(170
공사기고 / 公私記攷 [역사/조선시대사]
1840년부터 1869년까지 이윤선이 관직 생활을 하면서 견문한 내용을 중심으로 작성한 일기. 이윤선(李潤善, 1826-?)이 1840년(헌종 6)부터 1869년(고종 6)까지 30여 년 간 쓴 일기를 그의 아들 이진영이 모아서 편찬한 책이다. 저자는 서리 이기혁(李基
공사청일기 / 公事廳日記 [역사/근대사]
일제강점기 이왕직에서 국왕의 동정을 중심으로 한 각종 행사관계를 기록한 일지.관청일기. 편찬형식으로는 이왕직실록편찬회(李王職實錄編纂會)의 원고 용지에 기록하였다. 장서각에는 『공사청일기』라는 표제로 같은 시기를 다룬 두 종류의 책자가 전한다.『장서각도서한국판총목록』에
공산문집 / 恭山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학자 송준필의 시·서(書)·기·제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본집은 권수에 목록이 있고, 권1·2에 부 1편, 시 438수, 권3∼11에 서(書) 603수, 권12에 잡저 16편, 권13·14에 서(序) 25편, 기(記) 38편, 발 9편
공산지 / 公山誌 [지리/인문지리]
1859년(철종 10) 임정회(林挺會) 등이 편찬한 충청도 공주목(지금의 공주시) 읍지. 2책. 지도가 첨부된 목활자본. 간행은 1861년에 이루어졌다. 모두 6권으로 제1책에 권1·2·3이, 제2책에 권4·5·6이 실려 있다. 내용 구성은 다음과 같다. 권1은 강역(
공상정례 / 供上定例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예조와 호조에서 세자궁에 공상되는 물품 중 소속 내관들에게 지급되는 항목을 기록한 역사서. 1책. 필사본. 『공상정례』 중의 일부분이 되는 책 같으나 다른 궁(宮)·전(殿)의 것들은 현재 보이지 않는다.세자궁 소속의 유모(乳母) 1인, 상궁(尙宮) 5인, 시녀
공선정례 / 貢膳定例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제22대 왕 정조가 1776년에 각종 공선 진상품의 종류 및 수량과 진상방법을 감축, 개정한 내용을 기록한 역사서. 1책. 활자본. 내용은 공선정례지(貢膳定例識)·공선정례이정절목(貢膳定例釐正節目)과 본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공선정례지」에서는 개정하는 사유와
공성탄신연화 / 孔聖誕辰筵話 [종교·철학/유학]
공자의 후손에 대한 대우문제를 논의한 내용을 기록한 유학서. 12장 1책. 목판본. 편자와 간행연대를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1792년(정조 16) 8월 27일 공자의 탄신일에 정조가 여러 신하들과 연회를 베풀었다는 내용으로 미루어보아 이 당시로 추정된다. 규장각 도
공신녹권 / 功臣錄券 [역사/조선시대사]
고려·조선시대에 공신을 책봉하고 이들의 공훈을 등재하여 공신 수봉자에게 분급한 문권을 지칭하는 용어. 현존 최고본으로 이화(李和)에게 지급한 개국공신녹권이 있다. 고려시대는 위사공신(衛社功臣)·연저수종공신(燕邸隨從功臣), 그리고 공민왕대에 집단 인원별로 책봉된 공신에게
공양문 / 供養文 [종교·철학/불교]
용복사에서 불교의 각종 권공의식 절차를 수록하여 1634년에 간행한 의례서.불교의례서. 불교의 각종 권공의식(勸供儀式)에 대한 절차를 수록한 의식집이다. 1책. 편자 미상. 1634년(인조 12) 과거부터 내려오는 여러 공양문을 합쳐서 경기도 수청산 용복사(龍腹寺)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