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덕대제 / 德大制 [사회/사회구조]
광산의 주인과 계약을 맺고 그 광산의 일부를 채광하는 덕대가 물주(物主)를 겸하거나 별도의 물주로부터 받은 자금으로 노동자를 고용·관리하여 생산활동을 하던 광산 경영방식. 덕대제는 조선 후기에 본격적으로 실시되었고, 한말에는 국가의 승인하에 사금광을 중심으로 광범위하게
덕동대추나무 / 德洞─ [과학/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평양특별시 사동구역 덕동리에 있는 대추나무. 북한 천연기념물 제9호. 대추나무는 덕동리로부터 약 1.5㎞ 정도 떨어진 이현부락의 대추밭 가운데 있다. 대추나무가 자라고 있는 토양은 석회암지대에 생긴 산림 밤색 토양이고 자갈이 보통 정도로 섞인 메흙이다
덕물도 / 德勿島 [지리/인문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도(德積島)의 옛 이름. 신라 태종무열왕 때 나당연합에 의하여 당나라 소정방(蘇定方)이 천리에 뻗친 전선을 이끌고 서해를 건너왔을 때, 신라에서 태자 법민(法敏)을 보내어 전선 100척을 거느리고 나아가 영접한 곳이 바로 이곳으로서, 지금의 덕적면
덕봉서원 / 德峰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창녕군 부곡면 부곡리에 있었던 서원. 1702년(숙종 28)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후경(李厚慶)·이도자(李道孜)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이석경(李碩慶)을 추가 배향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흥선
덕봉집 / 德峰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학자 이진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02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1902년 그의 후손 규일(圭一)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만도(李晩燾)의 서문과 권말에 김도화(金道和)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 고려대학교 도서관, 장
덕사내 / 德思內 [문학/고전시가]
신라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하서군(河西郡)의 노래로 가사는 전하지 않는다. 『삼국사기』 악지(樂志) 악조(樂條)에 제명(題名)만 기록되어 있는데 ‘사내’라는 표현으로 보아 신라 일대에 널리 불린 향가의 일종으로 추측된다.
덕산 / 德山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예산 지역의 옛 지명. 덕풍현은 본래 백제의 금물현(今勿縣)인데, 757년(경덕왕 16) 금무(今武)로 개명하여 이산군의 영현(領縣)이 되었다가 고려시대에 덕풍으로 고쳤다. 1018년(현종 9) 홍주(洪州)에 속하였다가 명종 때 감무(監務)를 두었다. 이산현은
덕산도립공원 / 德山道立公園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과 서산시 해미면에 걸쳐있는 도립공원. 덕산(德山)은 산 이름이 아니고 덕산면의 덕숭산과 수덕사, 온천, 윤봉길(尹奉吉)의 유적, 사당 등을 중심으로 가야산 일대에 지정된 도립공원의 명칭이다. 덕산도립공원에는 국가지정문화재 5점, 지방지정문화재 4
덕산서원 / 德山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상석리에 있는 서원. 1894년(고종 31)에 금릉·선산 지역 유림들의 공론으로 최효원(崔孝源, 1742∼1795)과 최장간(崔章幹, 1763∼1812) 2인을 향사하기 위해 덕산서원을 세우기로 결의하였지만 창건하던 중에 동학농민전쟁이 일어나 이
덕산온천 / 德山溫泉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에 있는 온천. 덕산온천은 1917년 일본인 안정(安井)에 의하여 처음으로 탕을 이용한 온천으로 그 모습을 갖추었다. 현재는 온천공의 수가 42공이며, 1일 채수량이 9,370㎥에 이른다. 온천의 수온은 최고 47.7℃이고, 수질은 약알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