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덕계의서 / 德溪醫書 [과학기술/의약학]

    의가류(醫家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이며, 판종은 필사본(筆寫本)이다. 규격은 27.7×17.8cm이다. 표제는 덕계의서(德溪醫書)이다.

  • 덕계일고 / 德溪逸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박증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60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1책. 석인본. 1960년경 7세손 희무(熙武)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권상규(權相圭)의 서문과 권말에 그의 6세손 숭목(崇穆)·희무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 덕곡격언 / 德谷格言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실학자 안정복의 문집 중에서 이기·수신·예절 등에 관한 격언을 발췌하여 편집한 수양서. 3권 3책. 필사본. 편집자 및 편집연대가 모두 미상이며, 서문과 발문이 없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천권(天卷)은 도체(道體)·태극(太極)·총이기(總理氣),

  • 덕곡답문록 / 德谷答問錄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생존한 독립운동가 권상익이 문인 및 제자들과 학문에 대해 나눈 내용을 수록한 문답서. 석판본. 권상익(權相翊:1863~1935)은 한말의 유학자이자 독립운동가로, 서산(西山) 김흥락(金興洛:1827~1899)의 문인이다. 1905년 을사늑약

  • 덕곡리지석묘군 / 德谷里支石墓群 [역사/선사시대사]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덕곡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의 지석묘군. 지석묘는 덕곡리의 마을회관 뒤쪽과 주변의 논밭에 모두 15기가 있으며 보존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상석과 지석을 갖춘 기반식지석묘로서 상석의 크기는 대체로 길이 2.2m, 너비 1.4m, 높이 0.8m이며 노출

  • 덕곡문집 / 德谷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유식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3년에 간행한 시문집. 1933년 유식의 후손 희태(熙泰)·민봉(民鳳) 등에 의해 편집·간행되었다. 권두에 8대손 재화(載華)의 서문과 권말에 후손 동욱(東旭)·희태·민봉 등의 발문이 있다. 5권 2책. 목활자본.

  • 덕곡서원 / 德谷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하리에 있는 서원. 1656년(효종 7)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황(李滉)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60년(헌종 1) ‘德谷(덕곡)’이라는 사액을 받아 사액서원으로 승격되었으며,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 덕곡집 / 德谷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윤계정의 도학과 예설에 관하여 저술한 문집. 불분권 3책. 필사본. 서문·발문 및 기타 책의 편집경위에 관하여 직접적으로 언급한 기록이 없다. 장서각 도서에 있다. 책1에 도체(道體)·위학(爲學)·궁격(窮格)·함양(涵養)·역행(力行)·거가(居家)·출처(

  • 덕구산 / 德九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과 강릉시 왕산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009m. 태백산맥의 줄기인 해안산맥에 속하는 산으로, 북쪽에 태화실산(太花實山, 1,010m), 서쪽에 사달산(1,169m)·노추산(老秋山, 1,322m), 남쪽에 백준산(白俊山, 1,067m), 동쪽에

  • 덕구온천 / 德邱溫泉 [지리/인문지리]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덕구리에 있는 노천온천(露天溫泉). 지질은 편상화강암이 전역에 분포하고 있다. 천질(泉質)은 무미·무색·무취의 철천(鐵泉)이다. 피부병·신경통·당뇨병·소화불량·빈혈 등에 효과가 있으며, 수소이온농도(pH) 9.03이다. 온천공(溫泉孔)은 모두 자연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