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대횡간도 / 大橫干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횡간리에 있는 섬. 2009년 기준으로 인구는 169명(남 85명, 여 84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세대수는 69세대이다. 취락은 요망산 북서 사면 산록부의 해안가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토지이용 현황은 논은 없고 밭 0.24㎢, 임야 0.04㎢이

  • 대흑산도 / 大黑山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 속하는 섬. 경지 면적은 논 3㏊, 밭 208㏊, 임야 1,545㏊이며, 주요 농산물로는 고구마·보리를 비롯하여 콩·마늘·참깨가 생산된다. 수산물로는 조기·병어·해태·미역 등이 생산된다. 2004년 1월 30일에 흑산도의 일부 지역이 다도해해상

  • 대흑산도항 / 大黑山島港 [경제·산업/교통]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에 있는 연안항. 대흑산도항은 1970년 7월 제2종 항만(현재의 연안항)으로 지정되어 1981∼1988년 사이에 320m의 남방파제를 축조하였고, 1989∼1995년 사이에 250m의 북방파제를 축조하였다. 그 후 1996년 9월에 제1차 항만기

  • 대흥 / 大興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예산 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임존성(任存城, 또는 今州)이었는데, 757년(경덕왕 16) 임성군(任城郡)으로 고치고 청정(靑正)ㆍ고산(孤山) 등을 영현(領縣)으로 두었다. 고려 초기에 대흥군으로 고치고, 1018년(현종 9) 운주(運州)에 이속시켰으며,

  • 대흥군읍지 / 大興君邑誌 [지리/인문지리]

    충청도 대흥군(현 예산군 대흥면)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750년(추정)에 편찬한 지방지. 1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이밖에도 『호서읍지』의 일부로 수록된 것이 규장각 도서에 있다. 내용 구성은 강계(疆界)·건치연혁(建置沿革)·군명(郡名)·

  • 대흥사강희42년명종 / 大興寺康熙四十二年銘鐘 [예술·체육/공예]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대흥사 대웅전에 있는 조선시대의 범종. 1703년(숙종 29) 제작. 높이 91.0㎝. 이 종은 원래 청룡산보적사(靑龍山寶積寺)용으로 강희 42년인 1703년에 만들어진 것임을 기록된 명문을 통해 알 수 있다.한국 전통종 양식을 따른 범종

  • 대흥향교 / 大興鄕校 [교육/교육]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교촌리에 있는 향교. 1405년(태종 5)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그 뒤의 역사는 전하지 않으며,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大成殿)·명륜당·동무(東廡)·서무(西廡)·삼문 등이 있다. 대성전

  • 댐 / dam [경제·산업/산업]

    계곡 또는 하천을 가로질러 저수·취수·토사저지 등의 목적으로 축조하는 공작물의 총칭. 목적에 따라 저수댐·취수댐 및 사방댐 등으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댐이라 하면 저수댐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댐의 특수한 형태로서 토사유출을 저지하는 사방댐 외 광산에서 광물을 제련

  • 댕강나무 / Abelia mosanensis T. CHUNG. [과학/식물]

    인동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 평안남도 맹산과 성천지역에서 자라며 서울 근처에서도 잘 자라는 특산종이다. 높이는 5m까지 자라며 밑에서 많은 줄기와 가지를 내어 둥근 모양을 이루는 나무이다. 새로 자란 가지는 붉은 것이 특징이고, 줄기에는 6줄의 홈이 패어 있다. 잎은

  • 덕계문집 / 德溪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학자 오건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27년에 간행한 시문집. 10권 5책. 목판본. 1827년(순조 27) 그의 후손인 사덕(思德) 등에 의하여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6수, 부 5편, 표 3편, 권2에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