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대항리패총 / 大項里貝塚 [역사/선사시대사]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 조개미[蛤九味]에 있는 조개더미. 1981년 4월 11일에 전라북도 기념물 제50호로 지정되었으며 지정면적 3,484㎡에 이른다. 석래산(石來山, 244m)을 배경으로 하고, 변산해수욕장에서 동쪽으로 1km 떨어진 변산면 대항리의 조개미

  • 대행수 / 大行首 [경제·산업/산업]

    조선시대 육의전의 각 전의 대표자. 도중의 사무를 총리하는 직책이었다. 각 전의 기강의 진퇴, 재화의 취산 등이 오직 그 능력여하에 달렸으며, 도원의 진퇴를 호령하고 상벌을 행하는 실권을 가지고 있었다. 그 선거는 도령위가 집행하는 좌중 50인 중에서 10인 이상의

  • 대혜도경종요 / 大慧度經宗要 [종교·철학/유학]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원효가 구마라습이 한역한 『마하반야바라밀다경』의 내용을 집약하고 핵심요지를 설명한 불교서. 불교해설서. 1권. 전체를 ① 대의를 서술함[述大意], ② 경의 근본 뜻을 나타냄[顯經宗], ③ 제목을 해석함[釋題名], ④ 경을 만든 연기를 밝힘[明緣

  • 대혜보각선사서 / 大慧普覺禪師書 [종교·철학/불교]

    송나라 승려 대혜종고가 지인들과 주고받은 편지를 모아 엮은 불교서. 보물 제1662호. 『대혜어록(大慧語錄)』 30권 중에서 25∼30권에 해당되며, 간략히 『서장(書狀)』이라고 한다. 총 62편의 서신 중에서 59편은 관료 또는 지식인들과 주고받은 것이다. 송나라

  • 대혜서장 / 大慧書狀 [종교·철학/불교]

    송나라 승려 대혜종고가 지인들과 주고받은 편지를 모아 엮은 불교서. 서간집. 우리 나라 불교전문강원에서 사용되는 교과서로, 사집과(四集科) 과정에서 학습되고 있다. 간화선법(看話禪法)에 바탕을 두고 대혜종고에게 법을 물어 온 42인에게 삿된 견해를 깨뜨리고 정법(正法

  • 대혜원명동종 / 大惠院銘銅鍾 [예술·체육/공예]

    대혜원(大惠院) 명문이 있는 고려시대 동종. 보물 제1781호. 지금의 경기도 안성 지역인 죽주(竹州)에 소재했던 대혜원의 동종으로, 고려시대에 제작되었다. 동종은 불룩한 몸체가 아래로 갈수록 살짝 오므라드는 형태이며, 한 마리의 용으로 만들어진 종뉴와 긴 음통을 갖추

  • 대호군 / 大護軍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오위의 종3품 관직. 고려 때의 대장군이 조선 초기 도위첨사(都尉僉事)로 개칭되었다가 태종초 대호군으로 변개되었다. 1466년(세조 12) 종3품관으로 확정되어 오위의 고급지휘관으로 법제화하였다.

  • 대홍산 / 大紅山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장진군 상남면과 평안북도 강계군 용림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2,152m. 낭림산맥에 속하며 북쪽으로는 맹부산(猛扶山, 2,214m)·총전령(葱田嶺, 2,084m)·와갈봉(臥碣峰, 2,261m), 서쪽으로 평안북도인재백산(人在白山, 1,813m)·단목산(檀木

  • 대황산 / 大黃散 [과학/의약학]

    태음인(太陰人) 체질을 가진 사람의 옹저(癰疽)와 종창(腫瘡)에 사용하는 처방. 피부·근육의 어떤 부위에 작은 뾰루지가 생겨 차츰 악화하여 곪는 것을 옹저 또는 종창이라고 한다. 종창은 양성(良性)과 악성(惡性)으로 구분하며, 또한 유명·무명·종창 등 가짓수가 많다.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