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 예천 회룡포 / 醴泉回龍浦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대은리에 있는 명승. 회룡포는 경주김씨가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이는 풍양면 청운리 사막마을에 살던 경주김씨의 조상들이 이주해 온 것이라고 한다. 현재도 모든 가구가 경주김씨이다. 회룡포를 둘러싸고 있는 비룡산에는 신라시대 고찰인 장안사가 위치하

  • 오대산 / 五臺山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강릉시와 평창군·홍천군에 걸쳐 있는 산. 오대산은 설악산과 더불어 태백산맥에 속하는 고산준령으로 주봉인 비로봉(1,563m)을 중심으로 호령봉(虎嶺峰)·상왕봉(象王峰)·두로봉(頭老峰)·동대산(東臺山) 등의 고봉들이 솟아 있다. 산의 가운데에 있는 중대(中臺)를

  • 오대산국립공원 / 五台山國立公園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강릉시·홍천군과 평창군에 걸쳐 있는 국립공원. 오대산국립공원의 면적은 약 304㎢이고 1975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오대산(1,565.4m)은 태백산맥이 남쪽으로 뻗어 내려오다가 서쪽으로 그 분기점에 이룩해 놓은 명산이다. 주봉인 비로봉(1,565.4m)

  • 오대천 / 五臺川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 남한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오대천은 오대산맥의 북측으로는 오대산 비로봉·두로봉·동대산·노인봉, 동측으로는 황병산·용산·백석봉, 남측으로는 하봉·중왕산, 서측으로는 백석산·잠두산·백적산을 분수령으로 한다. 오대천의

  • 오도산 / 吾道山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과 합천군 묘산면·봉산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1,134m. 소백산맥의 지맥인 가야산맥 중의 한 산으로 북동쪽에 두무산(斗霧山, 1,038m), 북쪽에 비계산(飛雞山, 1,126m), 서남쪽에 숙성산(宿星山, 899m) 등이 있어 가야산의 산각(

  • 오동도 / 梧桐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수정동에 속하는 섬. 여수시 동쪽에 위치한 신항(新港)부두에서 1㎞ 거리에 있다. 동경 127°46′, 북위 34°44′에 위치하며, 면적은 0.13㎢, 해안선은 14㎞이다. 1935년 일제강점기에 길이 768m, 너비 7m의 방파제가 3년에 걸쳐 완공

  • 오룡천 / 五龍川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회령군 화풍면의 산지에서 발원하여 회령군·종성군·경원군을 흘러 두만강으로 흘러드는 하천. 길이 66.2㎞. 두만강의 하류부에 흘러들어가는 지류 중 남쪽의 아오지천(阿吾地川)과 함께 주요한 하천이다. 종성군을 흐르면서 강폭은 넓어지고 곡저평야가 발달한다. 남북에

  • 오비도 / 烏飛島 [지리/자연지리]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풍화리에 있는 섬. 동경 128°22′, 북위 34°48′에 위치한다. 산양읍 풍화리 수월마을에서 남쪽으로 0.5㎞, 곤리도에서 북쪽으로 3.7㎞ 지점에 있다. 면적은 0.82㎢이고, 해안선 길이는 2.3㎞이다. 한려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 오색온천 / 五色溫泉 [지리/인문지리]

    강원도 양양군 서면 오색리에 있는 온천. 높이 800m에 위치하여 우리나라에서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온천이다. 조선 중기인 1500년경 이곳에 있는 성국사(城國寺)의 한 승려가 시냇가의 반석 위에서 솟아나는 약수를 발견하였는데, 오색석사 뜰에 오색화가 피는 특이한 나무

  • 오소리굴 / ─窟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평창군 미탄면 마하리에 있는 석회동굴. 길이 80m. 지층은 고생대 조선계(朝鮮系) 대석회암통(大石灰岩統)에 속한다. 입구는 매우 낮아 기어서 들어갈 수밖에 없는 동굴로 8m 정도 들어가 앉아서 40° 내외의 급경사를 30m 내려가면 수직동굴로 연결된다. 퇴적물

페이지 / 99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