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대한문법 / 大韓文法 [언어/언어/문자]
1909년 간행된 김규식(金奎植)의 국어문법서.1권 8절지 양절, 113장. 동장(東裝) 유인본(油印本). 이 책의 내용은 권두에서 국어를 우랄알타이어로 규정하고, 전체를 3편으로 나누어 제1편은 자체(字體)·성(聲)·음(音)·운(韻), 제2편은 사자학(詞字學), 제
대한문전 / 大韓文典 [언어/언어/문자]
유길준(兪吉濬)이 지은 국어문법서. 1권. A5판, 활자본. 저자 유길준은 11년간(1896∼1907) 일본에 망명하여 있었고, 그 사이에 국어문전을 집필하여 ≪조선문전≫의 여러 필사본과 유인본을 남겼으므로, 당시 나돌던 문전의 이본이 몇 가지에 이른다. 내용으로 보아
대한민간정부 / 大韓民間政府 [역사/근대사]
1919년 3·1운동 직후 천도교에서 기호지역에 수립하려던 임시정부. 1919년 4월 1일 정부수립 계획이지만 실행되지 못하였다. 대통령 손병희, 부통령 오세창, 국무총리 이승만, 내무부장관 이동녕, 외무부장관 김윤식, 학무부장관 안창호, 재정부장관 권동진, 군무부장관
대한민국공예대전 / 大韓民國工藝大展 [예술·체육/공예]
사단법인 한국미술협회가 주최하는 공예관련 신인작품 공모전. 1949년에 정부 주관으로 창설된 대한민국미술전람회(약칭 國殿)가 민영화되면서 비롯되었다.국전이 폐지되면서 1982년부터 한국미술협회가 주최하는 대한민국미술대전에 포함되었다가 1986년부터 별도로 분리 운영되고
대한민국농구협회 / 大韓民國籠球協會 [예술·체육/체육]
아마추어정신에 입각하여 등록·가입한 농구경기단체를 통괄 지도·육성하며, 농구경기의 발전을 도모하는 경기단체. 남자농구는 1969년 제5회 아시아남자농구선수권대회 우승, 1970년 제6회 아시아경기대회 우승, 1982년 제9회 아시아경기대회 우승, 1984년 제8회 아시
대한민국임시의정원 / 大韓民國臨時議政院 [역사/근대사]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입법기관. 1919년 4월 10일 1차 회의에서 조소앙의 동의에 임시의정원이라는 명칭이 결정되고 정식으로 개원되었다. 의장 이동녕, 부의장 손정도를 선출,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하였다. 광복이후, 1년 내 국회를 소집하는 동시에 임시의정원은 해산 직
대한민국임시정부 / 大韓民國臨時政府 [정치·법제/외교]
1919년 중국 상해에서 한국독립운동자들이 수립했던 임시정부. 임시정부란 정식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준비정부를 가리키는 말이다. 국내외에서 3·1운동이 전민족운동으로 확산될 때, 독립정신을 집약하여 우리 민족이 주권국민이라는 뜻을 표현하고, 또 독립운동을 능률적으로 발전
대한민국임시정부헌법 / 大韓民國臨時政府憲法 [정치·법제/법제·행정]
민족항일기에 중국 상해에서 수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헌법. 임시정부는 대한국민의회, 상해임시정부, 한성정부 등으로 형성되었다. 이 세기구는 1919년 9월 11일 상해의 임시정부가 개헌형식(통합헌법, 제1차 개헌)으로 대한국민의회를 흡수 통일정부가 수립되었다. 그 뒤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 大韓民國傳承工藝大展 [예술·체육/공예]
사단법인 한국중요무형문화재기능보존협회에서 우리 고유의 전통공예 기능을 보존·계승하고 육성·발전시키기 위해 매년 개최하는 전람회.작품전시회.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전통공예 기술의 기능보유자(인간문화재)는 해마다 1회 이상 그 기능을 공개하도록 되어 있는 문화재보호법의
대한민국체육상 / 大韓民國體育賞 [예술·체육/체육]
국민체육진흥에 공로가 큰 체육인을 표창하는 상. 1963년에 제정된 이래 문교부 주관으로 매년 시행하여왔으나, 1982년 체육부가 신설되면서 체육부로 이관되어 시행되어 오다가 1992년 체육부가 문화공보부와 합쳐짐에 따라 문화체육부에서 주관하고 있다.수상대상자는 우수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