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총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대학 / 大學 [종교·철학/유학]
유가의 근본 이념을 명확하고도 일관된 체계로 정립한 유교경전. 중국에서 유교가 국교로 채택된 한대(漢代) 이래 오경이 기본 경전으로 전해지다가 송대에 주희(朱熹)가 당시 번성하던 불교와 도교에 맞서는 새로운 유학(性理學)의 체계를 세우면서 ≪예기≫에서 ≪중용≫과 ≪대
대학 / 大學 [교육/교육]
고려시대의 최고 교육기관인 국자감의 학식. 국자감에는 유교 경전을 교육하는 국자학·대학·사문학과 잡업을 가르치는 율학·서학·산학 등이 있었다. 이를 경사육학이라 하였다. 국자학·대학·산학은 교과과정 등이 모두 같고 단지 입학자격에 차이가 있었다. 대학에는 문무 5품
대학강목잠 / 大學綱目箴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학자 유숭조가 『대학』의 삼강령과 팔조목을 시행하는 방편으로 1511년에 간행한 교훈서. 잠언집. 1511년(중종 6) 왕명으로 간행되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책의 첫머리에 명명덕(明明德)·신민[親民]·지지선(止至善)을 비롯해서 격물(格物)·치지(致
대학강의 / 大學講義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대학』의 강의를 정리하여 1936년에 간행한 주석서. 유학서. 1책.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제2집 제2권에 있다. 이 책은 저자가 1789년 28세 때 전시(殿試)에 차석으로 합격하여 경의진사(經義進士)가 되자, 정조가 희정당(熙政堂)
대학공의 / 大學公議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의 실학자 정약용이 지은 <대학>의 주석서. <여유당전서> 제2집에 수록되어 있다. 1814년 정약용이 강진에 유배되어 있던 당시에 완성하였다. 이 책은 고본대학의 순서를 따르면서 주해의 편리를 기하기 위하여 27분절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이 책에서 정약용은
대학동자문답 / 大學童子問答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조호익이 『대학』을 해석하여 1609년에 간행한 주석서. 유학서. 1609년(광해군 1) 김현(金鉉)이 백본책자(白本冊子)를 가지고 와서 『대학』의 대강의 뜻을 적어달라고 청하자, 평소에 『대학』을 연구하고 제자들을 가르치던 내용을 적어주면서 겸양해 ‘
대학로 / 大學路 [사회/촌락]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5가 사거리에서 혜화동 로터리에 이르는 문화예술의 거리. 서울의 대학로 양측에는 과거에 서울대학교 본부, 문리과대학, 법과대학, 의과대학, 미술대학 등이 자리 잡고 있었으나 1975년 의과대학을 제외한 모든 기관이 관악구 신림동 관악캠퍼스로 이전하
대학박사 / 大學博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국자감에 설치된 관직. 국자감에는 5품 이상 관직자의 자제가 입학하도록 되어 있는 대학(大學)을 두었는데, 대학박사는 여기서 교수직을 맡았다. 정원은 2인이었고 품계는 종7품이었다. 국가로부터 전(田) 60결과 시(柴) 33결을 지급받았다.
대학사 / 大學士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시대 보문각·예문관·문덕전·연영전에 소속된 관직. 보문각에는 1인을 두었다. 그 뒤 충숙왕 원년에 심왕(瀋王)의 건의로 대제학(종2품)을 두었는데, 이 관직이 공민왕 5년에 대학사로 바뀐 것이다. 그러나 1362년(공민왕 11)에 다시 대제학으로 바뀌는 등 명칭에
대학신강의 / 大學新講義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설태희가 『대학』을 풀이한 주석서. 유학서. 1권 1책. 신연활자본.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권두에 저자의 자서(自序)가 있으나, 발문은 없다. 구성은 범례(凡例)·도설(圖說)·본문 등으로 되어 있고, 인용부호와 의문부호를 사용하였으며, 해설용어에 있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