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22,135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검색결과
  • 대천집 / 大川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김치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9년에 간행한 시문집. 3권 1책. 석인본. 1929년 후손 현섭(顯燮)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원용규(元容圭)의 서문과 권말에 왕재정(王在政)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역서(易序) 1편, 하

  • 대천항 / 大川港 [경제·산업/교통]

    충청남도 보령시 대천동에 있는 연안항. 충청남도 중부 일원의 어업전진기지로 개발하고 태안반도 일원 여객선 안전운항을 보장하기 위한 시설 확보를 목적으로 1968년 연안항으로 지정된 후 1986∼1995년 사이에 1단계 사업으로 방파제와 물양장을 축조하였다. 그 후 19

  • 대천해수욕장 / 大川海水浴場 [지리/인문지리]

    충청남도 보령시 신흑동에 있는 해수욕장. 대전에서 102㎞ 지점, 보령시내에서 10㎞ 지점에 위치해 있다. 1930년에 개장하여 기반시설과 각종 편의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으며, 한해 방문객 수가 1천만 명에 이른다. 계절별 축제와 다양한 이벤트가 개최되고 있어 사계절

  • 대청도 / 大靑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청면에 속하는 섬. 『고려도경』에 "대청서(大靑嶼)는 멀리서 바라보면 울창한 것이 마치 눈썹을 그리는 검푸른 먹과 같다 하여, 고려인들이 이름을 붙인 것이다"한 것에서, 이 섬이 '푸른 섬'으로 불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농산물로는 약간의 쌀과 보

  • 대청수력발전소 / 大淸水力發電所 [경제·산업/산업]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덕유리에 있는 수력발전소. 금강유역의 종합적인 수자원개발사업으로서 금강하구로부터 150㎞, 대전광역시 동북방 164㎞ 지점에 높이 72m, 길이 495m의 콘크리트 중력식과 석괴식의 혼합형 다목적댐을 건설하고 그 직하부에 시설용량 9만㎾의

  • 대청호 / 大淸湖 [지리/자연지리]

    대전광역시 대덕구·동구, 충청북도 보은군·청주시 사이에 건설된 복합형 댐에 의해 형성된 인공호수. 금강 수계 최초의 다목적 인공 저수지로 1975년 3월부터 1980년 12월까지 5개년에 걸쳐 4대강 유역 수자원 개발 계획이 일환으로 대전광역시 대덕구 미호동과 충청북도

  • 대초도 / 大草島 [지리/자연지리]

    함경북도 나진시 초도동에 속한 섬. 면적 4.5㎢. 섬 전체는 남북축이 긴 달걀 모양을 하고, 북쪽의 소초도(小草島), 북동쪽의 성정단(城亭端)과 함께 나진항을 감싸는 자연 방파제 역할을 하고 있다. 나진항이 북한 3항으로 또, 현재는 나진·선봉 자유경제무역지대의 중심

  • 대촌온천 / 大村溫泉 [지리/자연지리]

    황해도 평산군 상월면 대촌리에 있는 온천. 주위의 삼림지대의 기후특성을 지니며 지역적인 지열유량은 60∼80mWm-2의 범위에 속하고 여러 개의 온천공에서 자연용출되고 있다. 온천수의 화학성분은 규산 18.2ppm, 광물질의 총량 279.6ppm, 기타 HCO3, SO

  • 대추나무 / Zizyphus jujuba MILL [과학/식물]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 학명은 Zizyphus jujuba MILL.이다. 높이는 10∼15m에 달하며, 곧추 자란다. 잎은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밑이 둥글고 좌우가 같지 않으며 3주맥(主脈)이 있다. 가장자리에 뭉툭한 톱니가 있으며 광택이 있다.

  • 대축관서목 / 大畜觀書目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대축관에 소장된 전적이나 서화 등을 기록한 목록집. 1책. 사본. 편찬연대는 고종 때로 추정되고 있다. 대축관은 창덕궁 안에 있던 서고 중의 하나였으나 현재 건물은 남아 있지 않다. 목록의 체재는 서명과 책수를 적고 가끔 결본표시를 하여 매우 간략한 기술을

페이지 / 2214 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