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981건의 주제어가 있습니다.

유형 : 지명 > 자연 지명
  • 영일일월지 / 迎日日月池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오천읍 용덕리에 있는 못. 경상북도 기념물 제120호. 『삼국사기(三國史記)』 권 32, 제사조에는 “일월제를 행하였다.”는 기록이 있으나 그것이 일월지와 연관이 있는지는 의문이다. 따라서 일월지에 관한 직접적인 기록으로 가장 오래된 것은 『신증동

  • 영종도 / 永宗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중구에 속하는 섬. 인천에서 남서쪽으로 4.8㎞정도 떨어져 있다. 동경 126°31′, 북위 37°29′이며, 면적 125.7㎢, 인구 74,448명(2019년 3월 현재)이다. 『고려사』·『세종실록』·『신증동국여지승람』에 자연도로 나와있는 섬이다. 1973

  • 영천곰굴 / 令泉―窟 [지리/자연지리]

    충청북도 단양군 매포읍 영천리에 있는 석회동굴. 지질은 고생대의 대석회암통에 속한 영월층군(寧越層群)의 석회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약 4, 5억년 이전에 생성된 것이다. 동굴이 있는 지역일대는 남한강의 지류인 매포천(梅浦川)과 안동천(安東川) 등이 개석하고 있으며 선사시

  • 영취산 / 靈鷲山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여수시 적량동·상암동·중흥동에 걸쳐 있는 산. 높이 510m. 『대동여지도』에는 영취산이라는 지명이 전국적으로 8곳이나 된다. 영취산은 불교와 관련된 지명으로 고대 인도의 마가다국의 수도 라자그리하(王舍城) 주위에 있던 산인데 석가모니의 설법장소로 유명하다.

  • 영평천 / 永平川 [지리/자연지리]

    경기도 포천시 이동면 광덕산(廣德山)의 서부 자등현(自等峴)과 광덕현에서 발원하여 군을 흘러 한탄강(漢灘江)으로 흘러드는 하천. 길이 40㎞. 광덕현에서 흘러나온 물은 동쪽의 백운산 물을 합쳐 이른바 영평팔경(永平八景)의 하나인 선유담(仙遊潭)을 만들어 산수가 수려한

  • 영흥도 / 靈興島 [지리/자연지리]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에 속하는 섬. 인천에서 남서쪽 23.7㎞ 떨어져 있으며, 동쪽으로 1.2㎞ 지점에 선재도가 있다. 동경 126°28′, 북위 37°15′에 위치하며, 면적 23.46㎢, 해안선길이 42.2㎞, 영흥면의 인구는 1,864명(1994년 당시)에서

  • 영흥만 / 永興灣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영흥군 호도면의 호도반도와 강원도 통천군 이라리갑과의 사이에 있는 만. 동한만(東韓灣)내에 있는 하나의 작은 만으로, 연안에는 원산시·문천군·영흥군·안변군·통천군 등이 있다. 만구(灣口)는 동쪽으로 열려 있다. 만 내에는 만의 북부에 위치한 송전만(松田灣)을

  • 영흥평야 / 永興平野 [지리/자연지리]

    함경남도 영흥군ㆍ고원군ㆍ문천군에 걸쳐 있는 평야. 동서 약 20㎞, 남북 약 16㎞ 지역에 펼쳐진다. 함경남도 내에서 함흥평야 다음으로 넓은 편이다. 연안의 주민은 산란기에 바다에서 올라오는 연어와 어패류잡이 및 간척 사업, 갈대를 이용한 노점 제작 등의 부업을 한다.

  • 예당평야 / 禮唐平野 [지리/자연지리]

    충청남도 서북부 아산만 남쪽에 펼쳐진 평야. 면적이 99㎢에 달하는 예당평야는 대체로 삽교천(揷橋川)과 그 지류인 곡교천(曲橋川)·무한천(無限川)의 유역으로 예산·당진·아산·서산에 걸쳐 있다. 예당평야에서 주로 쌀을 재배하는데 그 밖에도 맥류·두류·서류·채소·마늘 등을

  • 예천 초간정 원림 / 醴泉草澗亭園林 [지리/자연지리]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죽림리에 있는 명승. 예천 초간정 원림은 예천군 용문면 죽림리의 초간정(草澗亭)을 비롯하여 정자 주변의 계류, 암석, 송림 등을 포함한다. 2008년에 명승 제51호로 지정되었다. 초간정은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이라 할 수 있는 『대동운부군옥(

페이지 / 99 go